노고(路鼓)와 함께 인귀(人鬼)의 제사, 즉 선농(先農)ㆍ선잠(先蠶)을 위한 제사와 우사(雩祀), 공자묘(孔子廟)의 제사 등에서 댓돌 아래 마당에 설치하는 헌가(軒架)에 편성되었다.
제사가 많이 없어진 지금도 문묘제향(文廟祭享)에서만은 노고와 함께 헌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헌가의 음악이 시작되기 전에 노도를 세번 흔든 다음, 축(祝)과 진고(晉鼓)를 세번 치고 나면 음악이 시작된다.
노도는 『세종실록』 권128 오례의(五禮儀) 악기도설(樂器圖說)이나 『악학궤범』 권6 노도조에 다같이 4면의 북으로 되어 있다. 즉, 타원형의 조그마한 북 두개를 서로 엇갈리게 긴 나뭇자루에 꿰어 단 것인데, 나무로 된 북통에 각각 고리를 박고 그 고리에 가죽끈을 달았으며, 북통은 붉은 칠을 하였다.
연주법은 나뭇자루를 땅에서 집어 수직으로 들고, 나뭇자루 자체를 좌우로 여러 차례 돌리면 북통 고리에 달린 가죽끈이 북면을 때려 소리가 난다.
현재 국립국악원에 전하는 노도는 『악학궤범』의 제도를 본받아 1930년경에 새로 제작된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뇌고(雷鼓)나 노고처럼 나무호랑이를 엇갈리게 십자(十字)로 놓은 가운데를 뚫어놓은 곳에 꽂아 세운다. 나뭇자루의 맨 위에는 흰 새를 나무로 깎아 꽂았고, 그것을 연꽃모양의 장식으로 받쳤다.
크기는 높이 189㎝, 북면의 지름 15.5㎝, 북통의 길이 30.5㎝, 가죽끈의 길이 22㎝, 새의 너비 22㎝, 새의 길이 23㎝이다. 노도는 노고ㆍ영고(靈鼓)ㆍ영도(靈鼗)ㆍ뇌고ㆍ뇌도(雷鼗)와 함께 『고려사』악지(樂志)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사용되지 않고, 조선시대에 이르러 사용된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