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고(雷鼓)와 함께 풍운뇌우제(風雲雷雨祭)ㆍ산천서낭제(山川城隍祭) 등의 제례의식에서 댓돌 아래 마당에 설치하는 헌가(軒架)에 편성되는 악기로, 헌가의 음악을 시작하기 전에 세 번 흔든다.
『세종실록』권128 오례의(五禮儀) 악기도설(樂器圖說)에는 뇌고(雷鼓)와 뇌도가 8면의 북을 가졌으나, 현재 국립국악원에 보존되어 있는 뇌도는 타원형의 조그마한 북 세 개를 서로 엇갈리게 긴 나무자루에 꿰어 단 것인데, 나무로 된 북통에 각각 고리를 박고 그 고리에 가죽끈을 달았다. 따라서, 이 북은 6면으로 되어 있고, 이것은『악학궤범』의 제도를 본떠 1930년경에 만든 것이다.
나무자루의 맨 위에는 조그마한 용을 깎아 꽂았고, 그것을 연꽃모양의 장식으로 받쳤다. 크기는 북면의 지름 15.3㎝, 북의 길이 30㎝, 높이 184㎝, 용의 길이 33㎝이다.
연주법은 긴 나무자루를 땅에서 집어 거의 수직이 되도록 세워서 나뭇자루 자체를 좌우로 여러 차례 돌리면 북통 고리에 달린 가죽끈이 북면을 때려 소리가 난다. 뇌도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뇌고나 노고(路鼓)와 같이 나무호랑이를 십자(十字)로 놓은 가운데를 뚫어 놓은 구멍에 꽂아 세워 둔다.
뇌도 역시 뇌고와 마찬가지로 북통에 검은 칠을 하였고, 북면이 6면인 것은 천신제(天神祭)의 강신악(降神樂)이 곡을 여섯 번 반복하는 것과 일치한다. 천신제가 없어진 지금은 뇌고와 함께 사용되지 않고 있다. 뇌도는 뇌고ㆍ영고(靈鼓)ㆍ영도(靈鼗)ㆍ노고ㆍ노도(路鼗)와 함께 『고려사』악지에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사용되지 않다가 조선시대에 이르러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