눌재유고 ()

목차
관련 정보
눌재유고
눌재유고
유교
문헌
조선 전기의 학자, 박증영의 시 · 소 · 응제문 · 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이칭
이칭
눌강양세유고(訥江兩世遺稿)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전기의 학자, 박증영의 시 · 소 · 응제문 · 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2권 2책. 목판본. 아들 훈(薰)의 『강수유고(江叟遺稿)』와 합편되어 있어 『눌강양세유고(訥江兩世遺稿)』라 부르기도 한다. 후손 정룡(廷龍)·정표(廷彪) 등이 수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있고, 권말에 후손 영주(永周)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의 『눌재유고』는 사(詞) 1수, 부(賦) 2편, 조(操) 1수, 시 213수, 소 2편, 응제문(應製文) 4편, 표(表)·제문 각 1편 등이 실려 있고, 『강수유고』는 시 3수, 서(書) 8편, 묘갈문 1편, 소 1편, 공사(供辭) 1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권2는 부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눌재유고』의 부록은 자사(字辭)·별장(別章)·제문·애사 각 1편과 국계서원(菊溪書院)의 상량문·봉안문·향축문, 『강수유고』의 부록은 행장·묘지·묘갈명·전(傳) 등이 실려 있고, 그밖에 증직(贈職)·증시(贈諡)에 관한 각종 계(啓)·소·교지 등이 있으며, 이어 시장(諡狀)·신도비명, 신항서원(莘巷書院)의 상량문 및 묘정비, 눌재강수유묵발(訥齋江叟遺墨跋), 강수연보가 실려 있다.

소 2편 가운데 「대사간봉원효소(代司諫奉元孝疏)」는 1488년(성종 19) 임사홍(任士洪)의 죄를 논핵한 상소 사건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이다가 영의정 윤필상(尹弼商)에 의해 봉원효(奉元孝)가 퇴직을 당하자 그를 변호한 내용이다. 「구언응지소(求言應旨疏)」는 뇌우(雷雨)에 대한 홍문관연명상소(弘文館聯名上疏)로서, 미관(美官)만 구하는 염치없는 당시 조정의 기풍을 개탄한 내용이다.

『강수유고』의 「옥중연명소(獄中聯名疏)」는 신진사류로서 성급한 이상 정치를 구현하려다가 투옥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기준(奇遵) 등과 옥중에서 연명으로 작성한 것으로, 임금을 요·순(堯舜)과 같은 임금으로 만들고 싶었던 생각 외에 다른 사심은 없었다는 내용이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동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