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사학회 ()

근대사
단체
1969년 대구에서 설립된 역사연구 학술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69년 대구에서 설립된 역사연구 학술단체.
연원 및 변천

1969년 4월 15일 김익호(金益鎬) · 박영규(朴榮圭) · 한상준(韓相俊) · 김영하(金英夏) · 김엽(金燁) · 김정학(金廷鶴) · 홍순창(洪淳昶) · 허진영(許眞暎) · 황종동(黃鍾東) 등 대구 소재 경북대 · 영남대 · 계명대 · 효성여대의 사학과 교수들이 기존의 춘추학회(春秋學會)와 한국사학연구회(韓國史學硏究會)를 발전적으로 해체하고, 범대구지역 역사학회로서 새로운 학회의 창립을 결정했으며, 한상준 · 김엽 · 허진영 · 황종동 교수 등에게 학회규약의 초안 작성을 의뢰하였다.

같은 해 4월 25일 영남대학교에서 30여 명의 회원이 참석하여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학회명을 지금 대구의 구(邱)자 대신 큰 이름으로서 공자의 이름 구(丘)자를 취해 대구사학회(大丘史學會)로 정하였다. 이후 학회 활동을 개시해 5월 28일에 이선근(李瑄根 : 영남대학교 총장)의 「한국민족의 전통」, 김성복(金成福 : William & Mary대학 조교수)의 「미국사학계의 최근의 동향」을 주제로 하는 제1회 발표회를 개최하였다.

7월에는 김용기(金龍基)의 「임진난시(壬辰亂時)의 피로인쇄환관계(被擄人刷還關係) 신자료(新資料) 『해동기(海東記)』고(考)」 등 10편의 논문과 홍순창(洪淳昶)의 『일본농경문화의 기원(日本農耕文化の起源)』 서평 등으로 구성된 『대구사학』 제1집을 ‘동원김익호교수화갑기념사학논총(東苑金益鎬敎授華甲紀念史學論叢)’으로 간행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거쳐 1969년에 학회지 《대구사학》이 창간되었다. 1986년에는 대구매일신문사 후원으로 지방사 연구 전국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1996년에는 정기총회에서 간사체제(幹事體制)를 이사체제(理事體制)로 개편하여 전국학회로서의 위상을 확보하였고, 회원이 대구를 넘어 전국적으로 분포하게 되었다. 2005년에는 학회지 《대구사학》이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가 되었다.

현황

학술지 《대구사학》을 발간하고 있고, 우수 논문상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대구사학회 부산경남사학회 호남사학회 호서사학회 등과 공동을 4개 권역 역사학회와 공동으로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있었는데, 2022년부터는 전북사학회를 포한한 5개 학회 공동학술대회로 확장되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