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강다리 (다리)

목차
건축
유적
북한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나무 다리. 목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에 있었던 삼국시대 고구려의 나무 다리. 목교.
내용

1981년 여름 발견되었다. 조사발굴 사업은 휴암동 쪽에서 진행되었는데, 다리의 첫머리 부분 구조물은 10㎝ 정도의 두께로 덧쌓인 자갈과 모래층 밑에서 드러났다. 골조물의 대부분은 길이 670㎝, 너비 38㎝, 두께 26㎝ 가량 되는 밤나무 각재이다.

다리의 입구 부분에는 첫머리 부분에서부터 밖으로 부채살처럼 퍼진 깔판들이 가지런히 놓여 있으며 본래의 모습이 잘 남아 있다.

다리의 첫머리 부분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놓였던 골조가 땅에 묻힌 채로 남아 있었다. 그리고 강 건너편 천호동 쪽에서는 2개의 교각기둥이 강바닥에 박힌 채로 남아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다리의 첫머리 부분과 입구가 연결된 부분의 동쪽에서는 다리 구조물의 하나인 등불대터가 발견되었다.

이 터는 바닥을 다진 다음에 귀틀모양으로 쌓아올렸으며, 그 크기는 동서 112㎝, 남북 154㎝이다. 여기에 쓰인 목재는 두께가 17㎝, 너비가 10∼14㎝ 되는 것들로서, 서로 든든히 맞물려 있었다. 다리의 길이는 375㎝, 강 복판에서 너비는 9m 정도이다.

이 다리는 쇠못이나 꺽쇠를 비롯한 그 어떤 쇠붙이도 쓰지 않고, 모든 이음새를 사개물림(네 갈래로 오려내 맞추는 일)하여 견고성을 보장하고 있다.

이 다리 유적과 함께 고구려시대의 질그릇조각·기와조각들도 발견되었다. 이 다리의 북쪽 3∼4㎞ 반경에 당시의 왕궁인 안학궁(安鶴宮)과 대성산성(大城山城)이 있고, 서쪽에는 청암리토성(淸巖里土城)이, 동쪽에는 고방산성(高芳山城)이 있다.

그리고 다리의 남쪽에는 미림벌이 펄쳐졌는데 다리가 놓인 방향으로 곧바로 가면 동명왕릉(東明王陵)이 있으며, 서남쪽으로는 낙랑벌이 있다.

이 다리는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427년(장수왕 15) 이후에 쌓은 것으로 보이는데, 고구려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북한의 자연지리와 사적』(통일원,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