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 덕화리 2호분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평안남도 대동군에 있는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무덤 등이 발굴된 무덤군.
개설

덕화리 제1호분과 나란히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고구려 벽화고분은 60여 기에 달한다. 그 중 별모양을 그린 고구려 벽화고분은 21기나 되며, 벽면이나 천장면의 회가 떨어져서 알 수 없는 고분까지 고려한다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아질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별그림들은 거의 모든 고분에 한 개 또는 몇 개의 성좌들과 개별적인 별 몇 개가 그려져 있을 뿐, 덕화리 제2호분에서처럼 10여 개의 별자리에 해당하는 72개의 별들이 그려진 것은 보기 드물다. 그러므로 덕화리 제2호분의 별그림에 대한 연구는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내용

이 고분은 6세기경에 축조된 봉토분으로, 구조는 연도가 달린 단실묘로서 천장은 정팔각평행굄이다.

벽화는 주실과 천장의 전면에 걸쳐 회를 바른 후 그려졌다. 네 벽면에는 사신도(四神圖)와 인물풍속도를 같이 그렸고, 천장에는 해·달·별 들과 여러 가지 구름무늬 및 넝쿨무늬를 서로 어울리게 그렸다. 특히, 별그림은 모두 주실의 팔각굄천장에 그려져 있다.

이 별들은 종합적으로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 첫째로 주홍색 동그라미로 별을 표시하고 별과 별 사이를 붉은 색의 평행선으로 연결한 것, 둘째로 검은 색으로 동그란 테두리를 둘러서 표시하고 검은 선으로 연결한 것, 셋째로 검은 선으로 동그라미 테를 두르고 그 안에 ‘ㅅ’모양의 표식을 한 것이다.

별의 크기를 보면 첫째 부류가 제일 크고 셋째 부류가 중간 크기이며 둘째 부류가 제일 작다. 둘째 부류는 그 중에서도 크기를 약간씩 달리하고 있다.

이 고분에는 천상세계가 반영되어 9천(天)과 28수(宿) 등 당시 사람들이 중요시하던 별자리와 개별적인 별들이 정확하게 그려져 있다. 거기에는 그들의 점성술과 방위신사상 등의 관념도 반영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 고분에 그려진 28수를 통해 고구려에는 6세기경에 이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와 같은 높은 수준의 천문그림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천문지식이 이미 일반인에게 보급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고분에서 볼 수 있는 별자리를 이해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역사과학』(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77)
집필자
최무장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