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동지회 ()

목차
근대사
단체
일제강점기의 친일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의 친일단체.
내용

1920년 10월 평남지사 시노다(篠田治策)의 지원과 사주로 평양에서 설립되었다. 소속 기성(箕城)교회 전도사인 선우순(鮮于0x9678)이며, 나일봉(羅一鳳)·김흥건(金興鍵) 등이 중심인물로 참가했다.

일선 양민족의 공존공영과 조선인의 지도 계발, 즉 친일화를 표방했던 대동동지회는 당국의 비호와 후원으로 기관지 『공영(共榮)』을 발간하면서, 3·1운동으로 크게 끓어올랐던 평남지방 일대의 독립사상 압살에 광분하였다.

회장 선우순은 3·1운동 당시에도 일본조합기독교회 기성(箕城)교회 담임목사인 다카하시(高橋鷹藏), 동 교단 황주(黃州)기독교회 전도사인 혼마(本間淸) 등과 배역(背逆) 유세단을 결성하고, 4월 14일부터 황해·평남북 일대를 순회하면서 만세 열풍의 진정에 열을 올렸다.

대동동지회는 그 반민족적 활동으로 대중의 배척을 받다 1923∼1924년 무렵부터는 거의 유명무실한 존재로 되었다. 이후 선우현(鮮于鉉)을 회장으로 재조직된 대동동지회는 중일전쟁 직후인 1937년 11월부터 평양을 중심으로 그 일대를 유세하면서 시국인식과 내선일체를 선동하였다.

참고문헌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韓國侵略政策史)』(한길사)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