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복수가 ()

고전시가
작품
1824년(순조 24)조우각(趙宇慤)이 지은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824년(순조 24)조우각(趙宇慤)이 지은 가사.
구성 및 형식

필사본. 4음보 1행으로 따져 모두 162행. 홍재휴(洪在烋) 소장본·김광순(金光淳) 소장본·안영창(安永昌) 소장본 등의 이본이 있다. 홍재휴본과 김광순본은 표제가 ‘동음(東音)’으로 되어 있다.

안영창본에는 작자를 영천(永川) 조진사(趙進士) 우관(宇寬)으로 밝히고 있으나 우관은 필사 과정의 오류로 보인다. 이 작품은 청나라를 쳐서 명나라의 복수를 하겠다는 이상을 읊은 작품이다.

내용

내용은 명나라가 청나라에 의하여 멸망된 것을 슬퍼하며, 병자호란으로 인하여 우리가 당한 치욕을 설욕하지 못한 것을 통탄하였다.

또한, 강화를 주장한 최명길(崔鳴吉) 등을 신랄하게 비난하고, 중국과 우리 나라 역대의 충의열사들을 모두 동원하여 청나라를 쳐부수는 쾌재를 노래한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임진록」과 같이 전쟁으로 입은 상처에 대한 보상심리와 당시 팽배하였던 북벌의지를 배경으로 창작되었다는 견해가 있으나, 두 차례의 호란이 있은 다음 근 200년 뒤에 지어진 것을 감안할 때, 이전에 비하여 급속도로 진행되는 사회변화의 요인을 명나라의 멸망에서 찾고, 그 회복을 바라는 데서 지었다고 보는 것이 온당하다.

회고적이고 보수적인 작자의 의식이 그대로 표현되어 그 한계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대명복수가고(大明復讐歌攷)」(김광순, 『동양문화연구』 3, 1976)
「창헌(蒼軒) 조우각(趙宇慤)의 대명복수가(大明復讐歌)·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홍재휴, 『행정이상헌선생회갑기념논문집』, 형설출판사, 196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