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역』에서 ‘대’는 양(陽)을 가리키고, ‘축(畜)’은 ‘축적(蓄積)’과 '머무름[止]'이라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갖는다.
「대상전(大象傳)」에서 “하늘이 산 가운데에 있는 것이 대축(大畜)이니 군자가 대축괘의 상을 본받아서 앞의 말과 지나간 행동을 충분히 알아 그 덕을 쌓는다.”고 한 것은 전자의 경우이며, 효사는 후자의 의미를 갖고 있다. 즉 내괘인 건은 외괘인 간(艮)으로부터 저지되어 행위를 자제하며, 외괘는 내괘를 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간(艮)과 건(乾)은 모두 양괘(陽卦)이기 때문에 양이 양을 저지하는 ‘대축(大畜)’이 된다. 이 괘는 산이 아래에서부터 위로 올라오는 하늘의 기운을 저지하는 형상이며, 동시에 하늘의 기운이 산에 막혀서 더 이상 올라가지 못하고 산 속에 축적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것은 학문과 도덕이 내면에 온축되어 있는 군자를 상징한다. 그러므로 괘사에서 “대축은 올바름을 지켜야 이롭다. 집에서 먹지 말아야 길하니 큰 내를 건너는 것이 이롭다.”고 했는데, 이 말은 군자는 이단(異端)에 빠지지 말고 올바른 학문을 축적해야 하며, 학문이 축적되었으면 집에 머무르지 말고 천하를 위해 힘써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내괘인 건(乾)은 강력한 상향성을 갖기 때문에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성급하게 행동해 재앙을 가져오기가 쉽다. 그러므로 초구에서 “위태로울 것이니 그치는 것이 이롭다.”고 하였다.
또한 응효(應爻)인 육사(六四)에서 “어린 송아지의 빗장이니 크게 길할 것이다.”고 하여 송아지 뿔에 나무를 가로 대서 받는 것을 억제하듯이 초기에 적절히 제지(制止)해야만 위태로움에 빠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대축이 극치인 상구(上九)에 오면 “사통팔달(四通八達)한 하늘 길이니 형통할 것이다.”고 하여 모든 제약에서 해방될 것이라고 말한다. 이것이 바로 ‘극측반(極則反)’의 역리(易理)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