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력일통궤 ()

목차
관련 정보
대통력일통궤
대통력일통궤
과학기술
문헌
조선전기 문신 · 천문학자 이순지 · 김담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역법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전기 문신 · 천문학자 이순지 · 김담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역법서.
내용

1책. 활자본. 조선 세종 때 봉상시윤(奉常寺尹) 이순지(李純之)와 봉상시주부(奉常寺注簿) 김담(金淡)이 왕명을 받아 편찬한 것이다.

이 역일통궤는 같은 편찬자의 ≪태양통궤 太陽通軌≫·≪태음통궤 太陰通軌≫·≪교식통궤 交食通軌≫·≪오성통궤 五星通軌≫·≪사여전도통궤 四餘纏度通軌≫와 더불어 한 질을 이룬다.

그런데 중성통궤(中星通軌)가 빠진 것은 ≪사여전도통궤≫의 발문에서 밝힌 것과 같이, 중성의 추보(推步)는 본경(本經) 구문(舊文)에 따라서 변화가 없기 때문에 새로 인쇄하지 않은 것이다.

이들 ≪대통력통궤≫ 6권의 책은 세종이 영서운관사(領書雲觀事) 유정현(柳延顯)의 건의에 따라 예문관직제학 정흠지(鄭欽之)와 예문관대제학 정초(鄭招) 등에 명하여 수시력법(授時曆法)을 강구하고 여러 의상(儀象)과 구루(晷漏)를 제작하게 한 다음, 명나라에서 얻은 ≪대통력통궤 大統曆通軌≫의 수시력법에 근본을 두었다.

또 회회력법(回回曆法)은 또 다른 법으로 1442년에 이순지와 김담을 시켜서 이들 역법을 연구, 교정하여 ≪칠정산내편 七政算內篇≫·≪칠정산외편≫을 편찬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 역일통궤 이하 6권의 통궤도 편찬되어 1444년에 완성된 것이다.

명나라의 ≪대통력통궤≫ 4권은 누각박사(漏刻博士) 원통(元統)이 편찬한 것으로 수시력법에서 세실소장법(歲實消長法)을 삭제하고 역원(曆元)을 홍무(洪武) 17년 갑자(甲子, 1384)로 고친 것인데, 이 ≪대통력일통궤≫ 이하 6권의 통궤도 원통의 ≪대통력통궤≫를 우리 실정에 맞게 교정, 재편한 책이다.

그러나 첫 권인 역일통궤와 ≪오성통궤≫에 채용된 역법의 제상수(諸常數)는 여전히 수시력경의 값을 기본으로 하고 있고, 그 밖의 것은 ≪대통력통궤≫에 맞추어 홍무 17년 갑자를 역원으로 하고 있다. 특히 ≪사여전도통궤≫는 그 책머리에 ‘대명홍무17제 세차(歲次) 갑자 위원(爲元)’이라고 적고 있다.

이 역일통궤의 내용구성을 보면 첫머리에 일주(日周)·기법(紀法)·세실(歲實) 등의 상수를 놓고, 이어서 구중적법(求中積法)·구통적법(求通積法)·구윤분(求閏分)·구동지분(求冬至分) 등의 계산법을 설명하였다.

그 뒤 태양동지전후이상영초축말한(太陽冬至前後二象盈初縮末限)·태양하지전후이상축초영말한(太陽夏至前後二象縮初盈末限)·태음지질도입성(太陰遲疾度立成)의 3표를 게재하고 있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참고문헌

『사여전도통궤(四餘纏度通軌)』
『증보문헌비고』
『원사(元史)』
『명사(明史)』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