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독부 ()

목차
고대사
제도
당나라가 신라와 함께 백제를 정벌한 뒤 그 지역을 지배하기 위해 설치한 지방 최고군사행정기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당나라가 신라와 함께 백제를 정벌한 뒤 그 지역을 지배하기 위해 설치한 지방 최고군사행정기구.
내용

본래 도독부는 중국 수나라의 총관부(總管府)를 계승한 당나라의 관부로, 대·중·소 도독부의 구분이 있었다.

특히, 대도독부에는 도독 1인, 장사(長史) 1인, 사마(司馬) 2인, 녹사참군사(錄事參軍事) 2인, 녹사 2인, 전옥(典獄) 16인, 문사(問事) 10인, 일직(日直) 24인, 시령(市令) 1인, 승(丞) 1인, 좌(佐) 1인, 사(史) 12인, 창독(倉督) 2인의 관원과 경학박사(經學博士) 1인, 조교(助敎) 2인, 학생(學生) 60인, 그리고 의학박사 1인, 조교 1인, 학생 15인 등을 두고 교육에 임하게 하였다.

당나라는 백제와 고구려를 정벌한 뒤 그 고토를 확보, 지배하기 위해 한반도에 도독부를 두었다. 660년 9월 백제를 정벌한 직후, 당나라는 백제 고토에 웅진(熊津)·마한(馬韓)·동명(東明)·금련(金漣)·덕안(德安) 등 5도독부를 두고, 그 아래 주·현을 통괄하게 하였다.

아울러 백제 출신 추장으로 도독·자사(刺史)·현령을 삼아 다스리게 하였으며, 낭장 유인원(劉仁願)으로 도성을 지키게 하고, 좌위중낭장(左衛中郎將) 왕문도(王文度)를 웅진도독으로 삼았다. 그러나 9월 28일 왕문도는 신라 무열왕에게 당나라의 조서를 전달하는 삼년산성(三年山城)의 식전(式典)에서 급서하여 그의 종자가 대신 식을 마쳤다.

그 뒤 신라가 백제부흥군을 접수하고 당군에 대항하면서 노골적인 반당정책(反唐政策)을 추진하자, 당나라는 663년(문무왕 3) 신라를 계림주대도독부(鷄林州大都督府)로 하고 문무왕을 계림주대도독에 임명하기도 하였다.

또한, 당나라는 고구려 정벌을 원활하게 단행하고 신라와의 마찰을 피하기 위해 660년에 당으로 붙들어갔던 의자왕의 태자 부여 융(扶餘隆)을 웅진도독으로 삼은 뒤, 취리산(就利山 :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 연미산)에서 백마를 희생시켜 문무왕과 화친을 맹약하게 하였다.

참고문헌

『삼국사기』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자치통감(資治通鑑)』
「웅진도독부의 지배조직과 대일본정책」(이도학, 『백산학보』 34, 1987)
「百濟の故地に置かねた唐の州縣について」(末松保和, 『靑丘學叢』 19, 193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