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방언은 우리나라 동북구 지역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함경도방언이라고도 하여 대체로 함경남·북도를 넣지만, 그 남쪽 경계는 일반적으로 함경남도 영흥과 정평 사이로 본다. 동북방언 중에서 중앙에서 가장 먼 거리에 있고 사방이 고립되어 있는 육진 지역의 방언을 육진방언이라 한다. 동북방언은 지역에 따라 고조·저조 또는 고조·저조·상승조를 가지고 있는 성조언어이다. 어두에 /ㄹ/의 출현을 허용하는 것도 중부방언과 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이 방언의 통사적 특징은 목적어 중출문이 자유롭게 쓰인다는 점이다. 이 방언의 어휘에는 중세국어 또는 근대국어 시기에 쓰이다가 사라진 어휘들이 잔존해 있는 경우가 있다.
흔히 함경도방언이라고도 한다. 동북방언은 대체로 함경남 · 북도를 그 구획에 넣고 있지만, 그 남쪽 경계는 도계가 아니고 함경남도 영흥과 정평 사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북 방언 내에서도 두만강 하류에 위치한 육진 지역의 방언을 육진방언이라 하는데, 이 방언은 함경도 내의 다른 방언과 약간 다른 특성을 지닌다. 이 방언은 지리적으로 중앙에서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사방이 고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당히 보수적인 성격을 띤다.
대체로 어휘적으로는 동북방언과 큰 차이가 없으나 음운체계와 종결어미에서 일정한 차이를 보여 동북방언의 한 하위 방언권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독립방언권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동북방언의 모음체계는 ‘ㅣ, ㅔ, ㅐ, ㅟ, ㅚ, ㅓ, ㅏ, ㅜ ㅗ, ㅡ’의 10모음 체계이나, 중년층의 경우 ‘ㅟ’가 [e]로, ‘ㅚ’가 [i], [wi]로 바뀌어 8모음 체계를 보이기도 한다. 이중모음체계는 중부방언과 크게 다르지 않다.
자음체계도 중부방언과 거의 유사하다. 단 ‘ㅈ, ㅊ, ㅉ’의 음가가 함경남도에서는 [ʈʃ, ʈʃh, ʈʃ’]이지만 함경북도 북부에서는 구개음화를 겪지 않은 [ts, tsh, ts’]로 실현되는데 점차 경구개음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그리고 혀끝소리 ‘ㅅ’ 다음에서 ‘샤, 셔, 쇼, 슈’와 ‘사, 서, 소, 수’가 대립을 나타낸다.
동북방언의 또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성조언어(聲調言語)라는 점이다. 이 점에 있어서는 동남방언과 같은 유형에 속한다고 할 수 있는데, 악센트의 위치가 동남방언과 다르다. 함북의 길주, 성진과 함남의 단천 지역어는 고조, 저조, 상승조의 세 성조소를 가지고 있다. 중세국어의 거성은 ‘고조’, 평성은 ‘저조’, 상성은 ‘상승조’로 실현된다. 그 밖의 지역은 고조와 저조만을 가지고 있다. 중세국어의 ‘거성’과 ‘상성’은 ‘고조’로 실현되고 평성은 ‘저조’로 실현된다.
또한 어두에 /ㄹ/의 출현을 허용하는 것도 중부방언과 다른 중요한 특징이다. 예를 들면, 량반(兩班) · 령감(令監) · 룡산(龍山) · 료리(料理) 등이 있다.
동북방언이 겪은 통시적 음운변화로는 구개음화 · 움라우트 · 단모음화 · 원순모음화 등을 들 수 있다.
구개음화에 있어서는 남부방언과 마찬가지로 ‘ㄷ’구개음화뿐 아니라 ‘ㄱ’구개음화와 ‘ㅎ’구개음화도 보인다. 치[打]-(<티-) · 심(<힘) · 세(<혀) · 치(<키[箕]) · 질(<길[路])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문헌자료에 의하면 이 지역은 이미 16세기 말에 구개음화를 겪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남부방언의 구개음화와 함께 상당히 이른 시기에 구개음화가 일어난 것이다.
그런데 함경북도 북단의 회령 · 종성 · 경성 등 /ts, tsh, ts’/를 유지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구개음화를 겪지 않은 잔재어형(殘滓語形)이 보이는바, 이는 자음체계의 차이에 의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또한, 이 지역은 원순모음화에 있어서도 남부방언의 일부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원순자음(ㅁ · ㅂ · ㅍ) 아래에서의 ‘ㆍ’의 원순모음화를 보인다. 예를 들면 몰(<ᄆᆞᆯ[馬]) · 폿치(<ᄑᆞᆺ[赤豆]) · 포리(<ᄑᆞ리, 파리) 등이 그것인데 이것 역시 ‘ㆍ>ㅏ’라는 음운변화의 개신 영향이 미치기 전에 원순모음화를 겪었음을 말하는 것이다.
단모음화와 관련하여서는 하향 이중모음 ‘ㅢ’는 ‘의사이사’, ‘의하다이하다’와 같이 주로 ‘ㅣ’로 단모음화되었고, ‘ㅘ, ㅝ, ㅞ, ㅙ’는 자음 아래에서 ‘관심하다간심하다’, ‘유치원유치언’, ‘꽹과리깽가리’, ‘궤게짝’처럼 ‘ㅏ, ㅓ, ㅐ, ㅔ’로 단모음화되고 있다.
통시적 음운변화와 관련된 이 방언의 중요한 특징의 또 한 가지는 중세국어의 ‘ㅿ, ㅸ, ㅇ’이 다음과 같은 어형에서 보이는 각각 ‘ㅅ, ㅂ, ㄱ’으로 유지되고 있다는 점이다. 〈표 1〉. 이는 남부방언의 경우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15세기 국어 | 중앙어 | 동북방언 |
---|---|---|
ᄀᆞᇫ위 | 가위 | 가새 |
나ᅀᅵ | 냉이 | 나시 |
가ᅀᆞᆯ | 가을 | 가슬 |
가ᅀᅳᆷ(매다) | 김(매다) | 지슴․지심(매다) |
조ᅀᅡ | 쪼아 | 쪼사 |
구ᄫᅥ[炙] | 구워 | 구버 |
누ᄫᅦ[蠶] | 누에 | 누베 |
사ᄫᅵ[鰕] | 새우 | 새비 |
굴위[鞦] | 그네 | 굴기~구리 |
멀위 | 머루 | 멀기~멀귀 |
〈표 1〉 어휘 비교 |
조사는 중부방언과 같은 형태로 쓰이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 의미는 같으나 형태는 다르게 실현되는 것이 많다. 그 변이 형태는 대개 끝자음이 탈락하는 경우, 반대로 자음이 첨가되는 경우, 모음이 변하는 경우 등이 있다.
격조사 | 동북방언 | 중앙어 | 격 조사 | 동북방언 | 중앙어 |
---|---|---|---|---|---|
주격조사 | 이/가, 이가 | 이/가 | 처격 조사 | 에, 이, 여 으르셔, 을르셔, 으게셔/우게셔, 에셔 | 에,에서, 로 |
목적격조사 | 르/으/우 | 을/를, ㄹ | 도구격 조사 | 으르, 을르/울르/ㄹ르, 르, | 로/으로 |
관형격조사 | 으/우 | 의 | 공동격 조사 | 과, 가, 꽈, 까 | 와/과 |
여격조사 | 으/우, 으게/우게/게, 께(끼) | 에게/께 한테 | 접속격 조사 | 이라메, 이라미, 커녀느, 커너느 | 이랑, 커녕 |
〈표 2〉 동북방언의 격조사 |
동북방언의 상대높임법은 존대, 평대, 하대로 나눌 수 있으며, 그 어미의 실현 양상은 다음과 같다.
존대 | 평대 | 하대 | |
---|---|---|---|
서술법 | -음/슴메다, -음/슴네다, -음/슴다, -음/슴니, -음/슴미다, -음/슴머다, -오/소다, -우/수다 | -오/소, -우/수, -음/슴메, -음/슴네, -지비, -음/슴 | -다, -ㄴ다 |
의문법 | -까디, -니 | -냐/야, -느냐/느야 | -니, -지 |
명령법 | -읍/습소 | -읍지/습지, -읍/습게, -오/소 | -으라이, -아/어라 |
청유형 | -읍/습세다 | -읍/습세 | -자, -기오 |
〈표 3〉 동북방언의 상대높임법 |
통사적 특징으로, 먼저 목적어 중출문이 자유롭게 쓰인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 예로 “작은 딸으 곰이르 주어사 쓰갰다(작은 딸을 곰에게 주어야 되겠다).”, “가르 보애르 조라(그 아이에게 팽이를 주어라).”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통사구조에는 수여동사 ‘주-’가 서술어로 쓰인다.
동북방언에서는 부정부사 ‘아니’는 비음이 수반된 ‘아이’로 발음된다. “남 할라 아이 갔다(나무 하러 안 갔다).”가 그 예이다. 또한 ‘아니(아이)’와 ‘못’은 문장 내에서의 위치가 특이하다. 이 부정부사는 “아직 먹어 아이 보았소.”처럼 본용언과 보조용언 사이에 삽입됨이 일반적이며, “술기도 넘어못가는데”처럼 통사적 합성어의 사이에도 삽입된다. 또한 “궁기 뚧어 아이 진다(구멍이 안 뚫어진다).”와 같이 ‘동사어간+-어지다’의 사이에도 삽입된다.
어휘적 특징으로는, 먼저 중세국어 또는 근대국어 시기에 쓰이다가 사라진 어휘들이 동북방언에 잔존해 있는 경우가 있다. 그 예로 ‘허튀(종아리), 나조(저녁), 겨드랑이(자개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지리적으로 이웃한 중국 및 러시아와 접촉이 잦아지면서 이웃 나라의 언어를 차용해 쓰게 되었다. ‘광차이(삽), 다두배채(양배추), 빙고(썰매)’ 등은 중국어에서 차용한 예들이고, ‘거르망(karman, 호주머니), 가름다시(karandaša, 연필), 비지깨(spičhika, 성냥)' 등은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예들이다. 이 지방은 여진족 등 북방민족과 관계가 있는 곳으로 지명 등에서 그 영향을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