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라우트 (Umlaut)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선행음절의 모음이 후행음절의 전설모음에 의하여 전설모음으로 동화되는 음운현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선행음절의 모음이 후행음절의 전설모음에 의하여 전설모음으로 동화되는 음운현상.
내용

일종의 구개적(口蓋的)역행동화(逆行同化)인데, 국어의 움라우트는 [i, j]에 의한 i-모음역행동화뿐이다. 예컨대, ‘아기>애기’에서와 같이 후설모음 ‘ㅏ’가 후행 음절의 전설적인 ‘ㅣ’에 의하여 ‘ㅏ’에 짝이 되는 전설모음 ‘ㅐ’로 바뀌는 것과 같은 전설모음화가 움라우트이다.

국어의 움라우트현상은 18세기 후기부터 비롯되었다. 1800년까지 살았던 정조의 어필(御筆)에 ‘색기(<삿기)’가 보인다. 19세기의 문헌들에는 ‘삿기>ᄉᆡᆨ기’ 이외에 ‘ᄋᆡᆨ기ᄂᆞᆫ, ᄃᆡ리고, ᄉᆡ긴, 기ᄃᆡ려, ᄂᆡ리고, 메긴, 뭉텡니, 구뎅니, 끄딍이’ 등 많은 예들이 나타난다. 이 19세기까지의 움라우트는 ‘ㅏ>ㅐ’와 ‘ㅓ>ㅔ’의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는 이미 ‘ㅐ, ㅔ’가 단모음화(單母音化)하여 당시의 모음체계가 /e/와 /ɛ/의 전설모음을 포함하고 있었음을 전제하는 것이다.

20세기에 들어서서는 ‘쇠경(<소경, 盲人), 되리혀 (<도리혀)’ 등과 같은 ‘ㅗ>ㅟ’의 움라우트가 실현되었으므로 당시에 이미 ‘ㅚ’가 단모음화한 것이다.

그러나 ‘ㅜ>ㅟ’의 움라우트는 현재까지도 지극히 불안한 상태에 있다. 이는 중앙어의 움라우트현상으로서 이 움라우트의 최대관계는

ㅡ ㅓ ㅏ ㅗ ㅜ

↓ ↓ ↓ ↓ ↓

ㅣ ㅔ ㅐ ㅚ ㅟ

와 같이 10개의 모음을 포함하는 최대모음체계를 반영한다.

국어의 움라우트현상은 남부에서 먼저 일어나 전국적으로 전파되어 남농북희(南濃北稀)의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남부 방언에서는 어간 안에서는 물론이고(학교∼핵교, 죽이다∼쥐기다∼지기다), 어휘 형태소문법형태소의 결합에서도 제법 자유로이 실현되고 있다(잠+이→잠이∼재미, 법+이→법이∼베비).

움라우트현상은 두 모음 사이에 자음이 끼여 있을 경우에 실현된다. 그 자음은 순음(脣音)이나 연구개음(軟口蓋音) 등의 변자음(邊子音)에 한정되어(아기∼애기, 막히다∼매키다, 남비∼냄비, 하필∼해필), ‘ㅅ, ㄷ, ㅌ, ㅈ, ㅊ, ㄴ’ 등이 두 모음 사이에 끼이면 움라우트는 실현되지 않는다(다시>*대시, 바지>*배지). 순수자음이 아닌 ‘ㄹ’의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실현여부가 다르다 (나리다∼내리다, 머리>*메리).

‘맡기다∼매끼다’와 같은 경우에는 ‘맡기다→맏기다→막기다’를 통해서 움라우트되고, 자음군을 포함하는 ‘옮기다’는 자음군단순화(子音群單純化)(옮기다→옴기다)와 변자음화 (옴기다→옹기다)를 거쳐 움라우트된다. 역사적으로 보면 몇몇 경우에는 ‘삿기>새끼’와 같이 움라우트된 형식으로 굳어졌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아기∼애기’처럼 수의적으로 실현된다.

참고문헌

「‘·’ 음고(音攷)」(이숭녕, 『국어음운론연구』 1, 을유문화사, 1954)
「국어모음체계(國語母音體系)의 신고찰」(김완진, 『진단학보』 24, 1963)
「19세기 후기국어의 모음체계」(이병근, 『학술원논문집』 9, 1970)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