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음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初聲五音)의 하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초성오음(初聲五音)의 하나.
내용

입술을 작용시켜 발음하는 자음이다. 현대음성학에서는 아랫입술과 윗입술이 작용하는 양순음(兩脣音, bilabial)을 흔히 가리키나, 넓게는 아랫입술과 윗니가 작용하는 순치음(脣齒音, labiodental)을 이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국어에서 순음은 모두 양순음으로 구강음인 /ㅂ · ㅃ · ㅍ/과 비음인 /ㅁ/이 있는데, 『훈민정음』에서는 이들을 전청(全淸) · 전탁(全濁) · 차청(次淸) 및 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분류하였고, 현대국어학에서는 평음 · 경음 · 격음과 유성공명 비음으로 분류한다.

15세기에는 ‘ㅃ’은 한자음에만 쓰였다. /ㅂ · ㅃ · ㅍ · ㅁ/은 ‘벌벌 · 뻘뻘 · 펄펄 · 밋밋하다’에서와 같이 어두와 어중에서 모두 초성으로 쓰이나, 어말이나 음절말 위치에서는 ‘밥 · 밤’과 같이/ㅂ · ㅁ/만이 쓰인다. 어간말의 /ㅍ/은 휴지나 자음 앞에서 ‘짚(도)[집(또)]’라든가 ‘짚고[집꼬]’ 등과 같이 /ㅂ/으로 나타나며, /ㅃ/은 아예 어간말 자음으로 쓰이는 일이 없다. /ㅍ · ㅃ/은 어두와 모음간(母音間) 위치에서 늘 제 음가대로 실현된다.

/ㅂ/은 어두와 어말(또는 음절말)에서 무성음으로 실현되고, 유성음 사이에서는 ‘아비[abi], 냄비[nɛmbi]’ 등과 같이 유성폐쇄음[b]로 실현되는데, ‘우비[uβi], 누비[nuβi]’ 등과 같이 수의적으로 유성마찰음[β]로도 실현된다. /ㅁ/은 어느 위치에서나 [m]으로 실현되는데, 중부방언을 비롯한 일부 방언에서는 ‘묵[bm], 밉다[bmiːpt’a]’와 같이 고모음 앞에서 구강음[b]가 동시에 조음되는 듯 실현되기도 한다.

15세기에는 『훈민정음』에서 “以輕音脣乍合而口侯聲多也(이경음순작합이구후성다야)”라 풀이한 유성마찰양순음인 이른바 순경음 /ㅸ[β]/이 하나 더 있었다. 이는 유성음 사이인 ① V-V(사ᄫᅵ), ② y-V(대ᄫᅡᆮ), ③ r-V(말ᄫᅡᆷ), ㅍ에서 쓰였다. 중부방언 및 일부방언에서는 ‘수ᄫᅵ>수이(쉬, 易)’로 변화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ㅸ>w’로 변화하였다. ‘덥게∼더ᄫᅥ’와 같이 ‘ㅂ∼ㅸ’으로 교체되던 용언어간들은 ‘덥게∼더워’와 같이 불규칙활용을 하게 되었으나, ‘ㄼ’의 경우에는 ‘엷고, 열ᄫᅳᆫ’이 ‘엷고, 엷은’과 같이 ‘ㄼ’으로 대부분 통일되었다.

현대국어에서 ‘훌륭하다, 회오리’ 등에서 무성마찰양순음[ɸ]가 수의적으로 실현되기도 하나, 이는 ‘ㅎ’의 변이음이기 때문에 음운론적으로는 /ㅂ/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국어에는[f, v]와 같은 순치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한자음표기에 쓰인 ‘ㅸ’이 순치음[f]로 해석되기도 하나, 이는 중국음을 표시한 것이었다.

참고문헌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한국문화연구소, 서울대학교, 1972 ; 탑출판사, 1977)
「순음고(脣音攷)」(이숭녕, 『서울대학교논문집』 1, 1954)
「다시 β>W를 찾아서」(김완진, 『어학연구』 8-1, 서울대학교, 1972)
「동시조음규칙과 자음체계」(이병근, 『말소리』 1, 1980)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