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음 위치에 따라 일반음성학에서는 양순마찰음 〔ɸ, β〕, 순치마찰음 〔f, v〕, 치간마찰음 〔θ, ð〕, 치경마찰음 〔s, z〕, 구개치경마찰음 〔ʃ, Ʒ〕, 경구개마찰음 〔ç, j〕, 연구개마찰음 〔x, ɣ〕, 성문마찰음 〔h, ɦ〕등으로 각각 무성/유성의 짝으로 나눈다.
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마찰음이 쓰인다. ‘후미지다, 훌륭하다’ 등의 어두 ‘ㅎ’이 양순마찰음 [ɸ]로 수의적으로 나타나고, ‘두부, 우비’ 등의 ‘ㅂ’이 수의적으로 [β]로 나타난다. 15세기에는 ‘사ᄫᅵ, ○ᄫᅳ니, 더ᄫᅥ, 더ᄫᅱ’ 등의 ‘ㅸ’이 〔β〕로 쓰인 바 있다. 〔ɸ〕는 /ㅎ/의 수의적인 변이음이기 때문에, 현대국어에서 양순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존재하지 않는다.
순치마찰음은 국어에서 쓰이지 않으며, 치조마찰음은 [s, s’]가 음성적으로나 음운론적으로 쓰이고 있다. [z]는 15, 16세기에 ‘ㅿ’로 표기되어 쓰인 바 있다. 구개치경마찰음으로는 ‘시원하다, 심심하다, 시커멓다’의 ‘시’와 ‘하셔서’의 ‘셔’ 등에서 구개음화된 ‘ㅅ 〔ʃ〕’가 쓰이고, 경구개마찰음으로는 ‘힘, 혀, 효자’ 등의 어두 ‘ㅎ’이 음성적으로 구개음화된 〔○〕이 쓰이고 있다. 각각 /ㅅ/과 /ㅎ/의 변이음이다.
연구개마찰음 [x, ɣ]는 국어에서 음성적으로 그것도 수의적으로 실현되는데, ‘흙, 흐리다’ 등의 어두 ‘ㅎ’이 [x]로 실현되기도 하고, ‘고구마, 우기다’ 등의 어중 ‘ㄱ’이 유성의 [ɣ]로 수의적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이는 각각 /ㅎ/과 /ㄱ/의 변이음이어서, 연구개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국어에 존재하지 않는다.
성문마찰음은 어두에서 [h]로 실현되고 유성음 사이에서 [ɦ]로 실현되는데, 모두 /ㅎ/의 변이음이다. 유성의 〔ç〕는 ‘놓아, 앓아, 많이’ 등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흔히 그것을 아예 탈락시키고 발음하여 이를 표준발음으로 삼고 있다. 현대국어에서 마찰음은 음운론적으로는 /ㅅ/, /ㅆ/과 /ㅎ/ 셋뿐인데, 모두 음절의 첫소리로만 쓰이고 음절의 끝소리로는 쓰이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