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치음 ()

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 / △ 설명
훈민정음 / △ 설명
언어·문자
개념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에서 초성 자모 중 하나로 제시된 반치음 ‘ㅿ’의 명칭.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훈민정음』이나 『동국정운』에서 초성 자모 중 하나로 제시된 반치음 ‘ㅿ’의 명칭.
내용

중국음운학에서 자모(字母)를 ‘아(牙) · 설(舌) · 순(脣) · 치(齒) · 후(喉)’음으로 분류하고 다시 반치음과 반설음의 두 반음을 추가하여 칠음(七音)으로 분류한 것을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에서 받아들인 것으로, 반치음 ‘ㅿ’을 다시 ‘ㆁ · ㄴ · ㅁ · ㅇ · ㄹ’과 함께 유성자음에 해당되는 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분류하였다.

출현환경

반치음 ‘ㅿ’은 『훈민정음』과 『동국정운』에서는 ‘穰母[ᅀᅣᇰ]’를 나타내고, 중국음운학에서는 ‘日母[ᅀᅵᆯ]’를 나타내어 이 불청불탁음인 ‘ㅿ’은 결국 유성마찰음 [z]로 추정되는데, 유성음 사이인 ① v-V(아ᅀᆞ), ② y-V (새ᅀᅡᆷ), ③ r-V(프ᅀᅥ리), ④ n-V(손ᅀᅩ), ⑤ m-V (몸ᅀᅩ), ⑥ V-ɦ(ᄀᆞᇫ애), ⑦ V-β(우ᇫᄫᅳ니) 등에서 주로 쓰였고, 때로 ‘ᅀᅥᆯᅀᅥᆯ, ᅀᅥᆷᅀᅥᆷ, ᅀᅭᇂ’ 등과 같이 어두에서 쓰이기도 하였는데 주로 의성어 및 중국어 차용어에 나타난다.

『훈민정음』에서는 “終聲復用初聲(종성부용초성:종성은 초성을 다시 쓴다.)”이라 하고서 “所以 ㆁㄴㅁㅇㄹㅿ六字爲平上去聲之終 而餘皆爲入聲之終也”(소이 ㆁㄴㅁㅇㄹㅿ 육자위평상거성지종 이여개위입성지종야:그러므로 ㆁㄴㅁㅇㄹㅿ의 여섯 글자는 평성과 상성과 거성의 끝소리가 되고, 나머지는 모두 입성의 끝소리가 된다.)라 하여 ‘ㅿ’도 ‘여ᇫ의갗’에서처럼 종성으로 쓰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然ㄱㆁㄷㄴㅂㅁㅅㄹ八字可足用也”(연 ㄱㆁㄷㄴㅂㅁㅅㄹ 팔자가족용야:그러나 ㄱㆁㄷㄴㅂㅁㅅㄹ의 여덟 글자로 넉넉히 쓸 수 있다.)라 하여 ‘ㅿ’을 ‘ㅅ’으로 쓰도록 하였다. 이것은 실용의 편의를 위해 음소적 원리를 택한 결과이다.

그러나 위 ⑥ · ⑦과 같은 특이한 환경에서 ‘아ᇫ이, 여ᇫ이, 그ᇫ어, ᄀᆞᇫ 업스니, 나ᇫ나치’ 등과 같이 ‘ㅿ’이 종성으로 쓰이기도 하였다.

‘ㅿ’은 ‘ㅅ’과 마찬가지로 종성으로서도 마찰음으로 실현되었다고 추정된다. 치음 ‘ㅅ’은 종성 위치에서 설음 ‘ㄷ’과 늘 구별되었기 때문이다.

소실

반치음은 15세기 후반에서 16세기 전반에 걸쳐 소실된다. ‘ㅿ’의 소실은 ‘ㅣ’모음 앞에서 먼저 시작되어 예컨대 ‘ᄉᆞᅀᅵ>ᄉᆞ이’와 같은 어형이 나타난다. 16세기 후반이 되면 거의 의고적인 표기라 할 수 있는 ‘ㅿ’만 남고 사라져서 반치음은 16세기 전반까지 존속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반치음의 소실 과정은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중부방언에서 ‘ㅿ’이 소실되어 ‘∅(영,零)’이 된 반면, ‘ㅅ’으로 남아 있는 방언도 있다.(‘무:무수, 무시’, ‘여우:여시, 여수’ 등)

이것은 그러한 방언에서 ‘ㅿ’이 ‘ㅅ’에 합류된 결과로 추정되며, 반대로 그러한 방언에서 ‘ㅿ’이 탈락된 형식이 나타나는 것은 중부방언의 탈락형을 차용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국어음운사연구』(이기문, 탑출판사, 1977)
「훈민정음의 초·종성체계」(이병근, 『훈민정음의 이해』, 1988)
「치음고」(허웅, 『국어국문학』27, 1964)
「치음고」(이숭녕, 서울대학교 『논문집』3, 1956)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이병근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