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첨절제사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시대, 서반 4품에 해당하는 군사 지휘관의 관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는 조선시대 서반 4품에 해당한 군사 지휘관의 관직이다. 조선 초기에는 변진의 군사 책임자로 첨절제사보다 품계가 낮은 인물을 보내면서 동첨절세사라고 호칭하였으며, 세종 대에는 4품을 동첨절제사로 호칭하였고, 진관 체제에서는 종4품의 서반직 품계에 해당하는 관직으로 정착되어 조선 말까지 운영되었다.

정의
조선시대, 서반 4품에 해당하는 군사 지휘관의 관직.
설치 목적

1397년(태조 6)에 당시 도 단위의 군사 책임자였던 남방 지역의 도절제사를 폐지하고 변진(邊鎭)을 설치하면서 그 책임자로 첨절제사(僉節制使)를 파견하였는데, 일부 변진의 군사 책임자는 그보다 품계가 낮은 인물을 보내면서 이를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고 일컬었다. 그리고 1411년(태종 11)에 각 위(各衛)에 절제사를 두면서 상호군은 첨절제사, 대호군은 동첨절제사라고 일컬었다. 나아가 1423년(세종 5)에는 고려식 제도였던 도병마사(都兵馬使) · 병마사(兵馬使)를 양부(兩府) 이상은 도절제사, 3품은 첨절제사라고 바꾸어 일컫던 제도에 따라, 각 진의 병마사도 3품은 첨절제사, 4품은 동첨절제사라고 호칭하기 시작했으며, 이를 계기로 동첨절제사는 도절제사, 첨절제사 아래에서 그보다 작은 규모의 진을 통솔하는 위치로 확정되었다.

임무와 직능

동첨절제사의 역할은 진에 소속된 진군을 통솔하는 것이었다. 병마(수군) 동첨절제사가 본직(本職)인 경우에는 진장(鎭將)으로 활동하였고, 군수가 겸한 겸직의 경우에는 수령의 역할을 하면서 군사 체계에 편입되어 있었다.

변천사항

세종대에는 연해 수령의 3품인 자는 첨절제사(僉節制使)라 일컫고, 4품인 자는 동첨절제사(同僉節制使)라 하며, 5품 · 6품인 자는 절제 판관(節制判官)이라 일컬었는데, 세조대에 군익도체제를 전국적으로 확대하고자 진관 체제로 개편하여 수령이 겸한 병마단련부사도 병마동첨절제사로 개편되면서, 동첨절제사는 종4품의 품계에 해당하는 제진(諸鎭)의 장이 되었다. 그리하여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는 서반 외관직으로 종4품의 군수가 겸한 무관직이 동첨절제사에 해당하게 되었다. 따라서 경국대전 체제에서는 군수가 겸한 서반 외관직으로, 경기 14개 고을, 충청도 12개 고을, 경상도 20개 고을, 전라도 14개 고을, 황해도 11개 고을, 강원도 11개 고을, 영안도 6개 고을, 평안도 17개 고을 등 모두 105개 고을의 군수가 동첨절제사에 해당했으며,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경기 16개 고을, 충청도 15개 고을, 경상도 24개 고을, 전라도 19개 고을, 황해도 16개 고을, 강원도 11개 고을, 함경도 7개 고을, 평안도 24개 고을 등 모두 132개 고을의 군수가 병마 동첨절제사를 겸하였다. 한편, 수군의 경우에는 수군만호가 종4품에 해당했지만, 동첨절제사를 만호보다 상위의 관직으로 여겼으며, 수군만호를 승격시키거나 종3품의 수군 첨절제사를 강등시킬 때 종4품 전임(專任)으로 수군 동첨절제사를 두었다.

의의 및 평가

조선시대 관료제 운영이 관계(官階) 중심으로 정착하는 과정에서 첨절제사 아래의 서반직으로 정착되어 운영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태조실록(太祖實錄)』
『세종실록(世宗實錄)』
『세조실록(世祖實錄)』
『경국대전(經國大典)』
『대전통편(大典通編)』
『대전회통(大典會通)』

논문

김순남, 「진관체제의 확립과 지방군」(『한국군사사 5 조선전기Ⅰ』, 육군본부, 2012)
오종록, 「조선초기의 병진방위와 병마첨사·만호」(『역사학보』 123, 역사학회, 1989)
임선빈, 『조선초기 외관제도 연구』(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