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호유집 ()

목차
관련 정보
동호유집
동호유집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택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 학자, 신택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3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4권 1책. 연활자본. 1934년 그의 방손 태우(泰禹) 등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이병관(李炳觀)의 서문과 권말에 후손인 태경(泰慶)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연세대학교 도서관, 규장각 도서 등에 있다.

권1에 시 92수, 권2에 서(書) 32편, 권3에 제문 5편, 상량문 1편, 고유문 3편, 권4는 부록으로 유사·행장·묘갈명·묘지명 각 1편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는 채제공(蔡濟恭) 등 당시 명사들과 주고받은 서신이 수록되어 있다.

그의 시는 당시 남양홍씨 세도정권하에서의 사환인의 갈등을 그린 것으로, 한결같이 낙향과 청한한 생활을 꿈꾸고 있다. 「재반사귀(在泮思歸)」에서는 공명이란 계륵(鷄肋: 그리 가치도 없으나 버리기도 아까운 것)과 같은 것이라고 해 관직에 대한 일말의 유혹을 떨쳐버리지 못하였음을 읊었다.

그러나 평안도사를 사직하고 난 뒤에 지은 「사직환향(辭職還鄕)」에서는 청운의 뜻은 자신이 원하던 바가 아니라고 결론지었으며, 귀향 후에 쓴 「정체귀가(呈遞歸家)」에서는 베옷을 입고 채소를 먹는 것으로 안분(安分)을 노래하였다. 이 문집은 중앙 관계(官界)의 진출에 한계를 느껴 낙향한 저자의 현실의식을 반영하였다.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