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 ()

목차
관련 정보
언어·문자
개념
한 단어 또는 같은 기식군 안에 있는 한 음이 다른 음에 영향을 주어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변하는 음운현상.
내용 요약

동화는 일정한 소리 단위 안에 있는 한 음이 다른 음에 영향을 주어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변하는 음운현상이다. ‘먹는→멍는’의 변화에서 ‘먹’의 ‘ㄱ’이 ‘는’의 ‘ㄴ’의 영향을 입어 비음 ‘ㅇ’으로 변하는데 여기서의 ‘ㄴ’이 동화주이고 ‘ㄱ’이 피동화음이다. 순행동화는 ‘실내→실래’의 변화처럼 동화주 ‘ㄹ’이 피동화음 ‘ㄴ’ 앞에 있는 동화이다. 역행동화는 ‘먹는→멍는’과 같은 예에서 동화주 ‘ㄴ’이 피동화음 ‘ㄱ’의 뒤에 있는 동화이다. 완전동화는 동화의 결과가 ‘닫는→단는’처럼 피동화음이 동화주와 일치되는 동화이다. 부분동화는 동화의 결과가 ‘먹는→멍는’ 등에서와 같이 비슷한 소리들로 바뀌는 동화이다.

목차
정의
한 단어 또는 같은 기식군 안에 있는 한 음이 다른 음에 영향을 주어 같거나 비슷한 음으로 변하는 음운현상.
내용

여기서 영향을 미치는 쪽을 동화주(同化主)라 하고 그 영향을 입어 변하는 쪽을 피동화음이라 부르는데, 가령 ‘먹는→멍는’의 변화에서라면 ‘먹’의 ‘ㄱ’이 다음 ‘는’의 첫 ‘ㄴ’의 영향을 입어 비음 ‘ㅇ’으로 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의 ‘ㄴ’은 동화주이고 ‘ㄱ’은 피동화음이다.

동화작용의 분류에서는 동화주와 피동화음의 관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동화주와 피동화음의 선후 위치에 따라 : 순행동화(順行同化) · 역행동화(逆行同化) · 상호동화(相互同化), ② 동화주와 피동화음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가, 아니면 중간에 다른 음을 개재시키고 있는가에 따라 : 유기적 주4와 조화적 주5, ③ 동화의 결과가 완전히 동일한 음으로 나타나는가, 아니면 비슷한 음들이 되게 하는 데 그치는가에 따라 : 완전동화와 부분동화로 분류할 수 있다.

‘실내(室內)’에서의 ‘ㄹ’과 ‘ㄴ’ 사이에서 동화가 이루어져 ‘실래’라고 발음되는 것과 같은 경우, 동화주 ‘ㄹ’이 피동화음 ‘ㄴ’보다 앞에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러한 부류를 순행동화라 한다. 한편, 앞에서 든 일이 있는 ‘먹는→멍는’과 같은 예에서는 그와 반대로 피동화음이 앞에 있고 동화주가 뒤에 오기 때문에 역행동화라고 한다. 대개의 언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이 이 역행동화이다.

셋째 유형이 상호동화인데 이 부류의 동화에서는 거기 관여하는 두 음이 다같이 동화주가 되기도 하고 피동화음이 되기도 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고전적인 예로서는 ‘하마’를 뜻하는 희랍어단어 ‘hikwos>hippos’의 변화를 들 수 있겠는데 이렇게 분명한 상호동화의 예는 많지 않다. 국어의 경우 ‘독립→동닙’과 같은 것을 그 예로 드는 일이 종종 있으나 ‘독립→독닙→동닙’의 첫째 단계에서의 ‘ㄹ→ㄴ’이 동화의 결과라고 하는 데에는 이론이 있을 수 있다.

동화에 관여하는 두 음이 직접 연결되어 있을 때 그 동화작용을 유기적 동화라 하고, 그와 반대로 중간에 하나 이상의 다른 음을 개재시키고 동화가 형성될 때 이를 조화적 동화라 부른다. ‘먹는→멍는’, ‘실내→실래’, ‘독립→동닙’ 등과 같은 것들은 유기적 동화이고, ‘아기→애기’, ‘어미→에미’, ‘고기→괴기’에서 보는 모음들 사이에서의 동화는 조화적 동화이다. 주6 또는 닿소리이어바꿈이라고 하는 것은 대부분이 자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유기적 동화에 해당된다.

동화의 결과를 놓고 볼 때 완전동화와 부분동화의 구분이 생기는데, ‘닫는→단는’, ‘법문(法門)→범문’에서와 같이 피동화음이 동화주와 완전히 일치되게 변하는 것을 완전동화라 하고 ‘먹는→멍는’, ‘어미→에미’ 등에서와 같이 비슷한 소리들로 결과된 데 그칠 때 이를 부분동화라 부른다.

동화에 있어서 피동화음이 동화주의 영향을 받아 동일한 음으로 또는 비슷한 음으로 변화한다는 것은 동화주가 지닌 자질을 공유하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먹는→멍는’의 예에서라면 ‘ㄱ’ 이‘ㅇ’으로 변하는 것은 ‘ㄱ’이 ‘ㄴ’의 비음성 자질을 취한 결과이다. 자질의 관점에서는 동화를 모두 완전동화라 할 여지가 있다. 보기에 따라서는 동화주에 어떤 자질이 결여된 것에 맞추어 피동화음이 그 자질을 포기하는 것으로 비취는 것들이 있으나, 마이너스자질이라는 개념 위에 서면 앞의 것과 동질의 현상이라고 설명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have to’, ‘has to’가 ‘[h{{%206}}v tu : ][h{{%206}}f tu : ]’, ‘[h{{%206}}z tu : ][h{{%206}}s tu : ]’로 발음되는 것을 설명하면서 무성음 t 앞의 v · z가 t를 닮아 유성 자질을 상실한다고 말하는 것과 t의 [ · voiced] 자질을 취한다고 말하는 것은 같은 내용이다.

동화에 관계되는 자질의 종류에 따라 위치동화(位置同化)니 방법동화니 하는 말을 쓰기도 한다. ‘먹는→멍는’, ‘실내→실래’와 같은 변화에서는 주3의 방법이 같아지는 것이지만 ‘ᄒᆞᆫ{{%034}}>함께’에서의 ‘ㄴ>ㅁ’의 변화나 ‘아기→애기’에서의 ‘아→애’ 같은 변화에서는 그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동화작용은 절대동화(絶對同化)와 수의적 동화(隨意的同化)로도 구분된다. 절대동화란 의무적 규칙으로 작용하는 동화작용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 동화의 적용 없이는 실제의 발음이 불가능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가령, ‘먹는→멍는’, ‘실내→실래’, ‘십만→심만’ 같은 동화는 절대적이어서 이 동화들을 거치지 않고서 기저구조의 형태들이 발음 표면에 그대로 실현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아기→애기’, ’어미→에미’ 같은 동화는 적용시켜 그 결과를 발음할 수도 있지만 그것을 적용함이 없이 발음하여도 충분히 통용될 수 있는 것이요, 학교교육에서는 오히려 이러한 동화의 적용이 없는 쪽을 표준 발음으로 간주하고 있는 형편인데, 이와 같이 그 적용 여부가 의무적이 아니고 수의적인 동화를 수의적 동화라 하여 구별한다.

동화는 모음과 모음, 자음과 자음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모음과 자음, 자음과 모음 사이에서도 일어난다.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의 동화로는 이른바 움라우트현상(umlaut現象)이라는 것이 가장 잘 알려진 예에 속하지만, 모음조화를 모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일종의 순행동화로 다루기도 한다. 자음과 모음 사이의 동화작용으로 구개음화(口蓋音化)순음화(脣音化) 같은 경우를 들 수 있다. →음운변화

참고문헌

『음운론연구』(이숭녕, 민중서관, 1955)
『국어음운학』(허웅, 정음사, 1965)
『음운현상에 있어서의 제약』(이병근, 탑출판사, 1979)
『국어음운론』(이기문 외, 학연사, 1984)
주석
주1

전체동화라 부르는 사람도 있다.

주2

일부동화 또는 불완전동화라 하기도 한다.

주3

말소리의 산출에 관여하는 발음 기관 즉, 성대, 목젖, 혀, 이, 입술 따위의 움직임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직접동화

주5

간접동화

주6

음절(音節) 끝 자음(子音)이 그 뒤에 오는 자음과 만날 때, 어느 한쪽이 다른 쪽을 닮아서 그와 비슷하거나 같은 소리로 바뀌기도 하고, 양쪽이 서로 닮아서 두 소리가 다 바뀌기도 하는 현상. 예를 들어 ‘밥물’이 ‘밤물’로, ‘섭리’가 ‘섭니’로, 이 ‘섭니’가 다시 ‘섬니’로 바뀌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집필자
김완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