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센터 (DramaCenter)

드라마센터
드라마센터
연극
단체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에 있는 연극 전용극장.
이칭
이칭
동랑레퍼토리, 남산예술센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에 있는 연극 전용극장.
개설

1962년 유치진(柳致眞)이 설립한 극장으로 설계는 김중업(金重業)이 맡았다. 재단법인 한국연극연구소로 출발한 이 극장은 유치진을 소장으로 사무국장 신태민(申泰旼), 극장장 이해랑(李海浪), 아카데미원장 여석기(呂石基) 등으로 진용을 갖추었다. 1962년 4월 12일 셰익스피어 작·여석기 역·유치진 연출「햄릿」으로 개관공연을 가졌다.

원형무대와 양편에 사이드스테이지(side stage)가 있고, 소극장 전체가 무대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특징이다. 객석 뒤의 원형무대는 그리스 야외극장의 무대를 본뜬 것인데, 성당의 성가대 무대에서 힌트를 얻은 것이다. 전면에는 중세기의 동시무대 형식을 본떠서 만든 관객석 가운데까지 돌출한 무대가 있으며, 주무대는 근대극의 무대형식이다.

극장의 또다른 특색은 연기자들이 객석 밑에서 드나들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배우가 관객 속에서 솟아나오고 관객들이 연극에 완전히 몰입한 가운데 연극이 진행될 것을 의도한 연극적 필요성에 따라 고안된 것이다.

연원 및 변천

연중무휴 공연을 내걸고 출발한 드라마센터는 관객의 부족으로 재정난에 허덕이면서도 한국연극의 중흥을 위하여 공연활동을 계속 벌이는 한편 아동극지도자 강습, 초등학교 및 중고등학교 연극콩쿠르, 대학연극, 직장연극서클, 농어촌연극 등 5개항으로 된 ‘연극개발 3개년계획안’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1962년 10월에는 직업배우와 연극인재양성을 위하여 부설 연극아카데미를 발족시켰다.

그러나 연극운동의 핵심이라 할 공연활동은 재정적 기반의 취약성과 연기진의 대거 이탈로 1963년 1월 막을 내렸다. 그 동안 공연작품 6편, 총공연횟수 232회, 동원관객수 7만여 명을 기록하고 자체 공연을 중단하고 말았다. 그 뒤 대관극장으로 바뀌어 완전한 흥행장으로 변질되었는데, 높은 대관료 책정으로 비난을 면치 못하였다. 이후 1964년 9월에는 연극아카데미에서 양성된 인재들을 중심으로 전속극단 ‘드라마센터’를 출범시켰다.

극단 드라마센터의 창단으로 신진작가 발굴과 양성에 힘을 기울였고, 1965년부터 신춘문예 당선작을 공연하여 창작극 진흥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들이 본격적인 현대극운동의 진원지가 된 것은 1969년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즉 미국 유학에서 돌아온 유덕형(柳德馨)의 연출로 공연된 유치진 작「나도 인간이 되련다」가 기점이 되었는데, 이 공연은 동작 중심의 연출로 대사 위주의 리얼리즘 연극 연출법을 벗어난 반사실주의 연극이었다. 이것은 윤대성(尹大星) 작「망나니」, 오태석(吳泰錫) 작「쇠뚝이놀이」에서 볼 수 있는 전통극과 서구 현대극의 충돌과 융합으로 나타났다. 극단에 안민수(安民洙)가 가담하면서 이 같은 반사실주의 연극운동은 이후 한국연극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때부터 드라마센터는 레퍼토리 시스템을 시도하였다. 전용극장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레퍼토리 시스템은 한국연극의 발전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이었다. 1973년 초연한 오태석 작·유덕형 연출「초분」, 안민수 연출「태」·「하멸태자(太子)」등은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지에서도 인정받아 초청 공연되었다. 극단 드라마센터는 1974년 2월 유치진의 작고 후, 극단 이름을 ‘동랑(東朗)레퍼토리’로 바꾸고 레퍼토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가동하였고, 이로써 드라마센터는 현대연극의 실험적 공간으로 이미지를 구축하였다.

기능과 역할

전속극단의 공연이 없을 때에는 영화·무용·음악 등 자매 예술공연이나 각종 회합에 대관하여 주고, 그 수익금을 연극공연에 충당하였다. 부설학교가 발전하면서부터는 학생들의 실습장 내지 발표장으로도 사용되었고, 최근까지 연극아카데미가 발전한 서울예술대학의 실습실로 사용되었다. 그러다 2001년 서울예술대학이 안산으로 캠퍼스를 이전하면서 예술체험 전문공간으로 쓰이게 되었는데, 전문공연보다는 실험적 교육의 장으로 역할을 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드라마센터의 개관은 국립극장과 함께 연극전용무대의 확보라는 면에서 뜻 깊은 일이며, 극히 사실주의적이던 명동국립극장(현 명동예술극장)과는 달리 현대적 극장구조를 갖추어 현대극 실험에 알맞은 무대라는 점에서는 큰 의미를 지닌다. 또한 부설 연극아카데미는 연극학교를 거쳐 서울예술대학교로 승격됨으로써 연극계뿐 아니라 예술계 전반에 걸쳐 수많은 인재를 양성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 근·현대 연극 100년사』(한국 근·현대 연극100년사 편찬위원회, 집문당, 2009)
『한국 근대극장 변천사』(유민영, 태학사, 1998)
『한국극장사』(유민영, 한길사, 1982)
『서울예술전문대 20년사』(유민영, 예장 2, 1982)
「1970년대 드라마센터의 연출 특성 연구」(김숙현,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5)
「동랑 레퍼터리 극단 연구」(한은주,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