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오기

목차
관련 정보
따오기
따오기
동물
생물
국가유산
저어새과에 속하는 중형 물새.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따오기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진귀성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8년 05월 31일 지정)
소재지
기타 전국일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저어새과에 속하는 중형 물새.
내용

한자어로는 주로(朱鷺) · 홍학(紅鶴)이라고 하며 학명은 Nipponia nippon (TEMMINCK)이다. 시베리아 우수리지방에서 중국 동북 지방(만주)과 서부 산시성(山西省)에 걸쳐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는 겨울새로 도래하여 월동한다.

몸길이는 77㎝이며 부리가 아래로 굽어 있다. 머리는 흰색이나 이마 · 눈앞 · 눈주위 · 목, 다리에는 붉은 피부가 노출되어 있다. 뒷 머리에는 장식깃이 여러 가닥이 나있고, 얇고 긴 관 모양이며, 등 · 어깨 · 허리 및 윗꼬리덮깃은 흰색이나 깃털의 기부는 연한 등홍색이다.

날개깃 · 날개덮깃 및 꼬리는 흰색이며 연한 등홍색을 띤다. 가슴 · 배 · 옆구리는 흰색이며 부리의 기부는 적색, 그 나머지는 흑색이다. 다리는 짧은 편이며 적갈색이다. 번식기의 생식깃은 관우(冠羽) · 목 · 등 · 어깨깃 · 날개덮깃 등이 회흑색을 띠기도 한다.

번식기에는 암수 한 쌍이 함께 행동하며 그밖의 시기에는 작은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 논이나 소택지 혹은 갯가나 물가에서 작은 조개, 수서곤충, 지렁이, 곤충 등을 먹으며 때로는 식물도 먹는다. 경계심이 강하며 사람이 나타나면 급히 달아나 버린다.

날 때에는 목과 다리를 앞뒤로 뻗으며 백로나 왜가리보다 날개를 덜 펄럭이면서 직선적으로 난다. 활강하거나 원을 그리며 날기도 한다.

밤나무 · 참나무 등 활엽수의 큰 나뭇가지에 마른 덩굴이나 가지를 가지고 접시 모양의 둥지를 틀며, 알자리에는 이끼와 낙엽을 깐다. 4월 상순에서 번식 기간은 3월에서 6월까지이나 5월 이후부터는 번식성공률이 낮아진다. 한배 산란수는 3~4개이다.

연갈색 바탕에 갈색의 작은 반점이 있으며 군데군데 암갈색의 구름 모양의 무늬가 있다. 부화된 새끼는 회색의 솜털로 덮여 있으며 포란기간은 약 1개월이고 육추(育雛:알에서 깐 새끼를 기름)기간은 40~50일 정도 이다.

19세기 말 우리 나라를 답사한 폴란드의 조류학자 타크자노우스키(Taczanowski)는 서울 근교에서 50마리 정도의 따오기떼를 드물지 않게 볼 수 있었다고 하였다. 영국의 캠벨(Campbell)은 우리 나라에서 봄과 가을에 흔히 볼 수 있으며, 쉽게 사냥총의 밥이 되는 새라고까지 표현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그 수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1980년 중국 섬서성 한중시 양현에서 7마리의 따오기를 발견해 중국에서부터 따오기복원사업이 시작되어, 일본, 한국 순으로 복원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 경상남도 창녕군의 우포늪에서 따오기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고, 중국은 섬서성 한중시 양현, 일본은 니가타현 사도에서 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따오기가 사라진 원인은 첫째, 서식지 감소와 먹이부족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로 추정된다. 따오기의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들기 시작한 시점이 1950년대로 한국전쟁에 의해 서식지가 파괴되면서 고위도와 저위도를 오고가던 철새인 따오기가 이러한 영향으로 개체수가 급감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둘째, 환경오염과 생물농축, 먹이감소이다. 과거 한국의 국가 주요산업은 농업이었다. 대부분 자급자족을 위한 영농방식이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감소한 노동력을 상쇄하기 위해 화학적 영농방식이 보편화되기 시작한 시점 또한 1950년대로 당시 주로 활용하던 화학적 영농방식의 대표적 성분인 유기염소 계열 화합물 DDT로 인해 먹이생물에 직접적 영향으로 먹이량이 줄어들었고, 일부 생존한 먹이생물들은 따오기가 섭취하면서 체내 농축되어 다양한 영향(폐사, 알 껍질의 칼슘부족 현상 등)으로 따오기 개체군의 개체수를 감소시켰다.

우리 나라의 설화 속에서는 울음소리가 아름답지 못한 새로 나타난다. <황새의 재판>이라는 설화는 꾀꼬리와 따오기가 서로 목청 자랑을 하다가 황새에게 가서 판결을 받기로 하였는데, 따오기가 개구리를 잡아 황새에게 뇌물로 쓴 까닭에 황새는 꾀꼬리 소리를 간사하다고 하고, 따오기 소리를 점잖은 장부의 소리로 평했다는 내용의 이야기이다.

참고문헌

『한국동식물도감』 25-동물편-(원병오, 문교부, 1981)
『경기도의 동식물도감』(경기도, 1982)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한국잡가전집』(정재호, 계명문화사, 1984)
『自然』 264(中村司, 日本鳥類保護聯盟, 1983)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