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마(李濟馬)가 지은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수록되어 있다. 이 처방은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에 행인(杏仁)·사군자(使君子)·용안육(龍眼肉)·백자인(柏子仁)을 첨가한 것으로, 얼굴빛이 창백하고 가슴이 두근거리는 증상, 숨 가쁨, 무한(無汗), 가슴이 답답해 습관적으로 하는 기침, 설사 등의 증상이 평소에 자주 나타나는 소병한증(所病寒症)의 태음인에게 적당한 처방이다.
그 처방은 의이인(薏苡仁) 11.75g, 마황(麻黃)·나복자(蘿葍子) 각 7.5g, 행인·석창포(石菖蒲)·길경(桔梗)·맥문동(麥門冬)·오미자·사군자·용안육·백자인 각 3.75g, 건율(乾栗) 7개로 되어 있다. 태음인의 흉비증(胸痺症)에 쓰는데 이것은 협심증(狹心症)·충통(蟲痛)·식도경련(食道痙攣)과 같은 증세를 일으킨다.
이 증세는 피부가 한사(寒邪)를 받으면 위완(胃脘: 위속)의 양기(陽氣)가 상승하지 못하기 때문에 한기(寒氣)가 하강함으로써 생긴 병이므로 한사를 없애며 위장을 튼튼히 하는 의이인으로 군약(君藥)을 삼고 찬 기운을 쐬어 위강(胃腔)에 생긴 병의 대표방인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의 재료에 한기를 누그러뜨린다.
그리고 담을 삭히며 근육을 부드럽게 하는 행인(杏仁), 비장(脾臟)을 튼튼하게 하고 정신을 맑게 하는 용안육, 간울(肝鬱)을 풀어주는 백자인, 비기(脾氣)를 청결하게 하는 사군자 등 약물을 추가한다. 그리하여 심장과 폐의 기능을 윤택하게 하고 울기(鬱氣)를 풀어주면서 한사를 내보내고 양기를 상승시켜 태음인이 가지는 체질적 결함을 보완하면서 흉복부의 통증을 없애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처방은 일반적으로 통증에 많이 쓰이는 막힌 것을 내리고 아픔을 없애는 약이 아니고 허(虛)한 부분을 보완하면서 통증을 완화시키고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작용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