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두레

목차
관련 정보
두레박(맞두레)
두레박(맞두레)
산업
물품
두 사람이 마주서서 물을 푸는 두레.
이칭
이칭
쌍두레, 물두리, 물파래, 두레, 고리박, 고리두레, 거두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두 사람이 마주서서 물을 푸는 두레.
내용

지역에 따라 ‘쌍두레’(경기도 화성시) · ‘물두리’(경상남도 창녕) · ‘물파래’(경상북도 울진) · ‘두레’(전라남도 보성) · ‘고리박’(전북특별자치도 봉동) · ‘고리두레’ · ‘거두레’라고도 불린다.

목판처럼 바닥이 좁고 위가 넓은 나무그릇 네 귀퉁이에 줄을 달아, 두 사람이 두 줄씩 마주서서 잡고 물을 떠올린다. 나무통은 파손되기 쉬우므로 생철통이나 헌 이남박을 대용하기도 한다. 물이 깊이 고여서 두레나 용두레로는 물을 옮기기 어려운 데에서 쓴다. 남자 두 사람이 하루에 깊이 1m 아래의 물을 1,000말가량 퍼내며, 나무두레의 무게는 1.5㎏ 내외이다.

물을 풀 때 한 사람이 ‘어리 하나’, ‘어리 둘’ 하고 세면 다른 한 사람은 ‘올체’ 하고 받아서 장단을 맞춘다. 천두레를 한메기라고 하는데 지역에 따라서는 백두레를 한메기로 잡기도 한다.

전북특별자치도 고창에서는 한메기의 물을 풀 때, 천두레에 다시 열두레를 떠올린다. 마지막 열두레는 그 집의 풍년을 기원하는 덤인 것이다. 그러나 천두레를 꼭 채우는 것은 좋지 않다고 하여 999두레를 한메기로 잡는 곳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농기구고』(김광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6)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