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름소리 또는 조음소·연결모음·조성모음·조모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국어의 대표적인 매개모음은 ‘으’로서 그것이 나타나는 위치는 체언과 조사 사이, 그리고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이다. 즉,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나고, 그뒤에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나 어미가 결합하여 음절구조가 복합해질 때 발음의 편의를 위하여, 즉 소리를 고르기 위해서 충돌되는 두 자음 사이에 들어가는 것이 매개모음인 것이다.
매개모음의 예로서 용언의 어간과 어미 사이에 들어가는 것을 들어보면, ‘먹으니, 잡으니, 밝으니 ; 먹으면, 잡으면, 밝으면 ; 먹은, 잡은, 밝은’ 등에서 매개모음이 들어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매개모음을 취하는 것이나 취하지 않는 것이나 이들의 기능 수행에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예컨대 앞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날 때는 ‘보니, 보면, 본’ 등에서처럼 매개모음이 들어가지 않는데, 이들 예는 앞에서 든 매개모음이 들어가는 예와 아무런 의미 차이가 없다.
즉, 매개모음이 없이 어미 ‘·니, ·면, ·ㄴ’만으로도 충분히 제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니, ·면, ·ㄴ’을 기본형으로 삼고 앞의 어간이 자음으로 끝날 때 매개모음이 삽입된다고 기술하는 태도는 어미 형태와 그것의 의미 기능간에 1대 1의 안정된 대응을 세울 수 있다는 일면의 설득력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형태와 기능간에 꼭 맞아떨어지는 1대 1의 대응이 어디서나 언제나 지켜지는 것은 아니다. 가령 현대국어의 주격조사는 전혀 다른 두 형태 ‘이’와 ‘가’가 상보(相補)하여 동일한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령 ‘·으면’과 ‘·면’의 교체 관계에서 ‘·면’을 기본형으로 잡는 한편, ‘·으·’를 따로 떼어내어 매개모음으로 처리하는 것이 유일한 설명방법은 아닌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으면’과 ‘·면’의 교체 관계를 이형태(異形態)의 교체로 볼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 굳이 매개모음을 설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매개모음의 설정을 어렵게 하는 현상으로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가 연결되는 모든 경우에 매개모음 ‘으’가 삽입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국어의 음절구조상으로 볼 때에도 모음간에 두 개의 자음을 허용하는 것은 아무런 무리가 있을 수 없는데, 예컨대 ‘먹다, 먹고, 먹지, 먹게, 먹는, 먹나’ 등에서는 어간과 어미의 결합에 있어서 두 자음이 충돌하고 있지만 ‘으’의 개입이 없는 그대로 자연스러운 것이다. 요컨대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라고 하여 그것들 모두가 매개모음의 삽입을 요구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국어학의 초기 단계에서는 매개모음이라는 용어가 널리 쓰였으나 최근에 이르러서는 그다지 자주 쓰이지 않는다. 그 대신 어떤 의미가 ‘으’를 취할 경우, ‘으’를 가진 형태를 기본형으로 설정하고, 앞의 어간이 모음으로 끝날 때 ‘으’가 탈락된다고 설명하는 것이 새로운 경향이다. 이런 면에서 매개모음이란 언어 사실을 보는 관점과 설명의 편의에서 도입된 하나의 용어라고 볼 수 있다.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