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아투스(hiatus)라고도 한다. 충돌을 일으킨 두 모음 사이에는 음절 경계가 놓여야 하는데, 자음이 낀 음절연결의 경우에 비하여, 발음하기도 힘들고 청취효과도 떨어진다. 음소의 연결은 자음과 모음이 차례로 배열되어 음절을 구성하고, 그러한 음절이 계속되는 것이 경계도 분명하고, 발음하기도 쉽다.
자음만으로 계속된 음성연속체나 모음만으로 계속된 음성연속체는 일상의 말에서는 찾아보기도 어렵지만, 그러한 경우가 있다고 가정하더라도 그것은 발음하기도 어렵고 알아듣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오랫동안에 걸쳐 여러가지 복잡한 내용을 표현하기 위하여 말이 쓰여져 왔으므로, 모음충돌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게 된다. 그러한 경우, 부득이 그러한 어형을 그대로 쓰는 경우도 있으나, 단어의 뜻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를 피하고자 하는 몇 가지 방도가 취해지기도 한다.
① 두 모음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 : 아우·아이·아욱·아악(雅樂)·어업·가을·나이·다음·마음 등. ② 두 모음이 중간 위치의 다른 한 모음으로 변하는 경우 : 거웃(수염)>곳, 가히[犬]>가이>개 등. ③ 두 모음 가운데 하나를 탈락시키는 경우 : 사오나온>사나온, ᄒᆞ올로>홀로, 쓰+어→써, 크+어→커 등. ④ 두 모음 사이에 다른 자음을 끼우는 경우 : ᄒᆞ+아→ᄒᆞ+y+아→ᄒᆞ야, 비+에→비+y+에→비예[雨], 죠ᄒᆡ>죠희>죠히>조이>조+ŋ+이>종이, 나ᅀᅵ>나이>나+ŋ+이>낭이>냉이 등.
⑤ 두 모음 가운데 하나가 ‘이’일 때, 나머지 한 모음과 어울려 중모음이 되는 경우 : 나[吾]+이(主格)→내[naj](>[n○]), 너[汝]+이(主格)→네[nəj](>[ne]), 티[打]+어→텨[tjə](>[chCə]) 등. ⑥ 앞의 모음이 ‘오, 우’일 때, 충돌을 감수하는 경우 : 보+아→보아[見], 쏘+아→쏘아[射], 두+어→두어[置], 주+어→주어[與] 등으로, 이는 두 모음 사이에 [w]와 같은 과도(過渡)가 생기기 때문인 듯하다.
⑦ 두 모음이 같을 때, 충돌을 그대로 감수하기도 하고 한 모음이 떨어지기도 하는 경우 : 가+아→가, 가아[去], 나+아→나, 나아[出], 셔+어→셔어(셔아)[立] 등으로 이는 청취효과가 비슷한 때문인 듯하다. 이상의 예들은 모음충돌의 여러 경우를 알아보기 위한 편의에 의한 것으로 시대를 엄격히 고려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