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점 ()

목차
관련 정보
훈민정음언해
훈민정음언해
언어·문자
개념
중세국어 각 음절의 높낮이를 보이기 위하여 그 글자의 왼쪽에 둥근 점을 찍어 놓는 훈민정음의 표기법. 성점.
이칭
이칭
성점(聲點)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중세국어 각 음절의 높낮이를 보이기 위하여 그 글자의 왼쪽에 둥근 점을 찍어 놓는 훈민정음의 표기법. 성점.
내용

학자에 따라 성점(聲點)이라 부르기도 한다. 정음 창제와 더불어 발명된, 매우 독특하고 창의적인 낱말의 높낮이 표기 기호의 일종이다.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자세한 표기 규칙과 구체적인 예가 실려 있다. 이들 기록에 의하여 알아낼 수 있는 사실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해례 담당자들은 음절의 높낮이를 4성이라 하고, 그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글자 왼쪽에 점을 더한다고만 하였을 뿐이므로, 그때는 아직 방점이라는 이름이 없었는데, 근대의 연구들에서 이 점을 방점이라 불러 차차 널리 쓰이게 되었다.

둘째, 점의 유무와 개수에 따라 음절의 높낮이를 구분했다. 0점은 평성, 1점은 거성, 2점은 상성을 나타낸다. 입성은 촉박한 발음을 의미하며, 높낮이와는 무관하다고 보았다(左加一點則去聲二則上聲無則平聲入聲加點同而促急. 例義).

셋째, 한자(漢字)의 입성과 우리말의 입성이 다르다는 것이니 한자의 입성은 또 높낮이에서는 거성과 같고, 즉 1점을 배정할 뿐이나, 우리말의 입성 음절은 일정한 것이 없으니, 평성이거나 상성이거나 거성 중의 하나로 된다는 것이다(文之入聲與去聲相似. 諺之入聲無定. 合字解).

우리말 음절의 높낮이를 점으로 표기한 방식은 국어의 역사적 연구에 큰 가치를 지니며, 매우 독창적인 고안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중국의 한자 4성 표기법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이다.

참고문헌

『훈민정음해례(訓民正音解例)』
『훈민정음언해(訓民正音諺解)』
『동국정운서문(東國正韻序文)』
『홍무정운역훈서문(洪武正韻譯訓序文)』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연찬(서강대학교, 국어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