멍석말이놀이

목차
관련 정보
강강술래 / 멍석말이
강강술래 / 멍석말이
민속·인류
놀이
마을사람들이 서로 손과 손을 잡고 멍석(덕석)을 말았다 풀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즐기는 성인여자놀이.
이칭
이칭
덕석말이놀이
목차
정의
마을사람들이 서로 손과 손을 잡고 멍석(덕석)을 말았다 풀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즐기는 성인여자놀이.
내용

‘덕석몰이놀이’라고도 한다. 놀이의 이름은 놀이꾼들이 서로 손을 마주잡은 채 한 사람을 중심으로 멍석을 말듯이 똘똘 뭉쳤다가 다시 풀듯이 흩어지는 동작을 반복하는 데서 온 것이다.

충청도나 경상도에서는 이 놀이가 독립적으로 행하여지나 전라남도지방에서는 <강강술래> 끝에 하는 것이 보통이다.

놀이방법은 경상북도의 경우 어린이들이 한 줄로 늘어서서 손과 손을 잡고 있다가 맨 앞의 어린이가 “저 건너 장 서방, 비가 오겠나, 눈이 오겠나?” 하고 물으면 끝의 어린이가 “비가 오겠네.” 하고 대답한다.

그러면 모든 어린이들이 “덕석이나 한번 말아 보세.” 하고 소리치면서 앞서 비가 오겠다고 대답한 어린이들 중심으로 멍석을 말듯이 빙글빙글 돌면서 똘똘 뭉친다.

이 동작이 끝나면 다시 한 어린이가 앞에서와 같은 질문을 던지고 “날이 좋겠네.”라는 대답에 따라 “덕석이나 한번 펴보세.” 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멍석을 풀어간다.

그러나 전라남도에서는 <강강술래>중에 ‘지와밟기’가 끝나고 사람들이 한 줄로 늘어섰을 때, 선소리꾼이 “말자 말자 덕석 말자.” 하고 노래를 부르면 다른 사람들은 이를 되받으면서 소리꾼을 중심으로 똘똘 뭉친다.

이 동작 뒤에 다시 선소리꾼이 “풀자 풀자 덕석을 풀자.”고 소리치면 놀이꾼들은 반대방향으로 풀어나간다.

한편, 전라남도 도서지방에서는 선소리꾼이 “몰이 몰이 덕석몰이” 하는 데 따라 “늦인 늦인 뱅에몰이”라고 응답한다.

또, 한 동작이 끝난 뒤에 “벗겨라 덕석몰이” 하면 “늦인 늦인 뱅에몰이” 하면서 풀어나간다. ‘뱅에’는 ‘뱅어’의 사투리로, 뱅어를 그물로 잡아 끌어올리는 가사로 바뀐 것이다.

놀이의 내용이 그 지역의 생업형태에 따라 변화하는 좋은 본보기이다. 이 놀이는 농촌에서 곡물을 말리기 위하여 멍석을 말았다 풀었다 하는 동작을 본뜬 것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속대관』 4-세시풍속·전승놀이-(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광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