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정 ()

목차
관련 정보
명정 / 유월장
명정 / 유월장
유교
물품
장사지낼 때 죽은 사람의 신분을 밝히기 위해 품계 · 관직 · 성씨 등을 기재하여 상여 앞에서 길을 인도하고 하관(下棺)이 끝난 뒤에는 관 위에 씌워서 묻는 기(旗).
이칭
이칭
명기(銘旗)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장사지낼 때 죽은 사람의 신분을 밝히기 위해 품계 · 관직 · 성씨 등을 기재하여 상여 앞에서 길을 인도하고 하관(下棺)이 끝난 뒤에는 관 위에 씌워서 묻는 기(旗).
내용

명기(銘旗)라고도 한다. 장렬도(葬列圖)에 의하면 장렬의 제일 앞에는 방상시(方相氏)가 서고 그 다음에 명정이 따르게 되어 있다.

이 명정은 일반적으로 붉은 천을 사용하나 가세에 따라 고급 비단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고 흰 종이에 붉은 물을 들여서 사용하는 서민층도 있다. 규격은 너비 2자, 길이는 9자이며 분가루나 은물 등 흰색으로 글씨를 쓴다. 아래와 위에 축(軸)을 만들고 가장자리에 수술을 단다.

예설에는 일정한 규격이나 제도가 없지만 우리 나라 풍속에는 명정대에 나무로 새긴 용이나 봉의 머리를 꽂아 화려하게 장식하고 채색으로 단장을 하며 용의 머리에는 구슬을 물려 영원불변을 표시하기도 한다.

명정에 쓰이는 작위는 왕으로부터 임명된 관직을 큰 것부터 차례로 쓰며 부인은 남편의 직위에 따라 책봉된 직위를 쓴다. 생존시에 벼슬을 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가계에 따라 다르지만 처사(處士)·학생(學生) 등의 용어를 쓴다.

참고문헌

『가례(家禮)』
『사계집(沙溪集)』
『사례변람(四禮便覽)』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