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 ()

목차
관련 정보
모자
모자
의생활
물품
예의를 갖출 경우나 추위와 더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쓰는 물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예의를 갖출 경우나 추위와 더위를 막기 위해 머리에 쓰는 물건.
내용

[삼국시대∼조선]

우리 민족은 일찍부터 옷과 함께 관을 갖추었다. ≪삼국지≫ 위서(魏書) 동이전(東夷傳)에 의하면 부여(扶餘) 사람들은 모자를 금 · 은으로 장식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대가주부(大加主簿)는 무후책(無後幘)을, 소가(小加)는 절풍변(折風弁)을 착용하였다고 한다.

≪후한서 後漢書≫ · ≪남제서 南齊書≫ · ≪위서 魏書≫ · ≪북사 北史≫ · ≪남사 南史≫ · ≪주서 周書≫ · ≪양서 梁書≫ · ≪수서 隋書≫ · ≪구당서 舊唐書≫ · ≪당서 唐書≫ · ≪한원 翰苑≫ 등의 문헌에도 고구려 관모에 관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에 의하면 무후책과 절풍변 이외에 절풍건 · 절풍 · 책(幘) · 나관(羅冠) · 조우관(鳥羽冠) · 조우절풍변 · 변 · 피관 · 자라소골(紫羅蘇骨) · 조우소골 · 금은녹이무후책(金銀鹿耳無後幘) 등의 모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는 유자례(遺子禮)라고 하는 관과 흑건을 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남자는 복두와 소립(素笠)을, 여자는 관(冠)을 썼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보인다.

고려 때에는 ≪고려도경 高麗圖經≫과 ≪고려사≫에 의하면, 면류관(冕旒冠) · 오사고모 · 복두 · 조건(皂巾) · 사모(紗帽) · 고정립(高頂笠) · 감투[坎頭] · 평정두건(平頂頭巾) · 전모(氈帽) · 고정모(高頂帽) · 유각평건(有角平巾) · 사대문라건(四帶文羅巾) · 문라건(文羅巾) · 문라두건 · 죽관(竹冠) 등의 모자를 썼고, 군인들은 복두 · 전각복두 · 금화대모(金花大帽) · 투구 · 문라두건 · 절각복두 · 권착복두 · 피변 · 피몽수 · 오사연모(烏紗軟帽) · 문라건을 썼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비롯하여 서민에 이르기까지 계급에 따라 다양한 모자가 있었으며 그 유물과 기록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모자로는 면류관 · 원유관(遠遊冠) · 통천관(通天冠) · 익선관(翼善冠) · 전립 · 복두 · 공정책(空頂幘) · 양관 · 제관(祭冠) · 탕건(宕巾) · 초립 · 감투 · 평량자(平凉子) · 갓 · 방립(方笠) · 이암[耳掩] · 유각평정건 · 조건 · 동파관(東坡冠) · 충정관(沖正冠) · 정자관(程子冠) · 복건(幅巾) · 방건(方巾) · 와룡관(臥龍冠) · 유건(儒巾) · 휘항(揮項) · 풍차(風遮) · 만선두리(滿縇頭里) · 송낙 · 고깔 · 대삿갓 · 화관(花冠, 華冠) · 족두리(簇頭里) · 여자용 전립 등이 있었다.

[종 류

○ 금관 : 삼국시대 때 상류층에서 사용한 관모이다. 얇은 금판으로 머리둘레만큼 띠형태로 재단하고 3∼7개의 산자형(山字形) 혹은 불꽃무늬를 투조한 금판장식을 세운 것이다. 단순한 것, 복잡한 것, 곡옥이나 영락 장식을 한 것 등 다양하다. 변상(삼각형모양)의 내관과 함께 착용한다는 설과 따로 착용한다는 설이 있다.

○ 금동관 : 금관과 같은 용도로 금에 동을 섞은 것만 다르다. 삼국이 사용.

○ 변 : 변자(弁字) 그대로의 형태로 위의 ‘厶’는 관모의 삼각형을 뜻하고 밑의 ‘艹’는 관모의 끈을 표현한 것이다. 즉 변이란 삼각형상의 모자의 총칭인 것이다. 변은 우리말로 곳갈 또는 고깔이라고도 한다.

○ 절풍 : 절풍은 특수계급의 관모가 아니며 사인(士人)은 여기에 2개의 조우(鳥羽 : 새깃)를 꽂았다고 한다.

○ 소골 : 자색 나(羅)로 만들었고 관품을 가진 사람은 거기다 2개의 조우를 꽂았다고 한다.

○ 조우관 : 변상의 모자에 새깃을 2개 꽂은 관.

○ 조미관 : 변상의 모자에 새 꼬리털을 꽂은 관.

○ 금과 은 녹이무후책 : 금 · 은의 얇은 판을 깃털모양으로 만들어 책에 꽂은 모양이 사슴귀와 같은 형상으로 표현한 것.

○ 나관 : 얇은 견직물인 나로 만든 관으로 내관이 보이는데 앞에서 본 모양이 직사각형 관이다.

○ 입 : 햇빛과 비와 눈을 막을 수 있는 갓으로 차양 넓은 폐양립인데 조선시대 갓과는 다르다.

○ 투구 : 철로 만들어진 갑옷과 함께 쓰는 모자.

○ 복두 : 통일신라 때 상하 남자들이 모두 썼던 중국제 관. 절상건이라고도 한다.

○ 면류관 : 중국제 관으로 고려와 조선에서 왕이 면복과 함께 착용한 관.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낼 때, 정월 초하루와 동지의 조회, 비를 맞아들일 때 쓴 왕의 표신이다.

○ 사모 : 고려 공민왕 때 상복(常服)으로 명나라에서 들여와 썼다. 조선의 백관들도 상복과 함께 착용하였다.

○ 전각복두 : 고려와 조선의 백관이 공복에 썼고, 군위의 대장과 영병상기장군(領兵上騎將軍)이 썼다. 평각으로 되었으며 그림을 그린 채화복두, 앞의 위쪽이나 뒤쪽으로 각이 꺾인 절각복두가 있다.

○ 금화대모 : 신호좌우친위군(神虎左右親衛軍)과 흥위좌우친위군이 썼던 모자로 자색끈으로 턱밑에서 맨다.

○ 원유관 : 조선시대 왕이 초하루와 보름의 조강(朝降) · 조강(詔降) · 진표(進表) · 조관(朝觀)에 강사포와 함께 쓰던 관.

○ 익선관 : 고려와 조선에서 왕이 평상 집무복인 곤룡포에 썼던 관.

○ 주립 : 왕과 백관이 융복에 썼던 모자로 붉은 옻칠을 한 대나무 갓이다.

○ 공정책 : 조선에서 왕세자 관례 때 썼던 모자.

○ 양관 : 백관이 조복에 썼던 모자. 관의 앞면에 종선(從線)이 있는 관으로 그 수에 따라 상하가 구별되었다. 금색칠을 하였으므로 금관이라고도 한다.

○ 제관 : 백관이 제복에 쓴 관. 양관과 같으나 흑색칠을 하였다.

○ 탕건 : 평상시 관 대신 쓰거나, 망건의 덮개 또는 갓이나 관의 밑받침으로 사용했다.

○ 전립 : 벙거지라고도 하며 모(毛)로 만들었다. 가마꾼과 하층노예가 썼다. 구군복의 전립은 벙거지보다 잘 만들어졌다. 왕은 말총으로 만들어 썼다.

○ 초립 :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어 만든 갓. 폐양립형이다.

○ 평량자 : 대나무를 가늘게 오린 댓개비로 만든 갓으로 초립보다 굵다. 서민과 보부상이 썼다. 패랭이 · 차양자 · 폐양자라고도 한다.

○ 갓 : 양반이 썼던 모자. 대나무를 실처럼 가늘게 오려 만들고 그 위에 말총 등으로 싸서 옻칠한 것. 시대에 따라 양태와 모자의 높이와 크기가 달랐다.

○ 방립 : 대나무를 가늘게 오린 댓개비로 만든 갓으로 삿갓보다 모양을 낸 것. 평민의 모자이다.

○ 유각평정건 : 녹사(錄事)의 모자. 고려 때의 유각두건과 비슷한 모자로 추측된다.

○ 무각평정건 : 서리의 모자. 고려 때의 평정두건과 비숫한 것으로 추측된다.

○ 건 : 조건 · 자건 등이 있는데 변형(弁形)의 모자로 조예(早隷) · 시비(侍婢)가 썼다.

○ 정자관 · 충정관 · 동파관 · 방건 : 집에서 연거복에 썼던 관.

○ 복건 : 유생이 사용한 모자. 미혼남자의 예복용이나 어린이용으로도 사용되었다.

○ 유건 : 민자건이라고도 하며 유생이 사용하였다. 검은 베로 만들었다.

○ 이암 : 난모의 하나. ≪경국대전 經國大典≫에서 정한 예복용 모자로 음력 10월초에서 정월 말일까지 사모에 썼다.

○ 휘항 · 풍차 : 사가에서 사용한 난모이다. 귀천 · 문무의 구별 없이 모두 사용하였다.

○ 만선두리 : 모로 만든 휘항의 가장자리를 초피로 선을 두른 모자. 무신의 공복용 모자이다.

○ 소풍차 : 조사(朝士)의 연로한 사람들이 대궐을 나와서 착용한 난모이다. 풍차보다 작아서 소풍차라고 하며, 경풍차 · 삼산건이라고도 한다.

○ 송낙 : 승관의 하나로 변형이다. 소나무 겨우살이로 결어 만든다.

○ 고깔 : 승관의 하나로 마포로 만들었다.

○ 화관 : 영조 때 가체금지 후 사용된 관으로 주 · 옥 · 금패로 치장한 예관이다. 원삼 · 당의에 착용하였다.

○ 족두리 : 고려 후기 궁중 양식의 관. 조선에 전해지면서 작아졌다. 영조 이후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검은 비단으로 만들었다. 솜을 넣어 만든 솜족두리, 주 · 옥 · 금패로 꾸민 족두리, 꾸미지 않은 민족두리가 있다.

○ 아얌 : 개화기 때 여자 모자. 앞은 조바위와 같으나 뒤에 큰 댕기를 늘인다.

○ 조바위 : 개화기 때 여자의 봄 · 가을용 모자.

○ 남바위 : 개화기 때 여자용 난모. 풍차 · 이암 등이 작아진 것이다. 볼끼가 달려 있다.

○ 굴레 : 어린이용 모자.

○ 호건 : 남자어린이의 모자. 복건의 변형으로 호랑이 얼굴을 머리부분에 수놓은 것이다.

[개화기 이후∼현대]

개화기 이후 서구의 영향으로 서구의 모자가 도입되었다. 남자의 모자는 단발령으로 머리에 상투를 틀지 못하게 되면서 시작되었다.

맨 처음에는 관리들이 양복을 예복으로 착용하게 됨에 따라 서구식 모자를 착용하기 시작하였다. 초기 예복의 모자는 영국 예복의 모자를 본뜬 문관의 대례복용 모자이다. 앞뒤가 뾰족 나온 山자형인데 모자 정수리에 장식 깃털이 달려 있었다. 문관의 소례복인 프록코트(frock coat)에는 영국제 실크 해트(silk hat)를 착용했으며 진사고모라고도 했다.

이후 각종 학교와 기관에서 제복으로 양복을 착용하게 됨에 따라 서구식의 모자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일반복식에는 양복 · 한복을 막론하고 서구식 해트류를 착용하였다.

당시에 유행한 모자에는 파마나 모를 비롯해 중절모 · 중산모 등이 있으며 중절모는 1970년대까지도 노인들이 한복에 중절모를 쓴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1960년대 서구에서 남자들의 모자착용이 줄어들면서 우리 나라에서도 일반인의 모자착용이 줄어들었고, 1980년대 중 · 고등학생의 교복이 폐지됨에 따라 일제식 교복과 교모도 사라지게 되었다.

오늘날에는 군인 · 경찰 등의 제모(制帽)와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헬멧(helmet), 방한모, 각종 운동모 등이 주로 사용되고 예의를 갖추기 위해 모자를 착용하는 경우는 드물게 되었다.

여자의 모자는 1899년 여자의 양장과 함께 들어왔지만 서구문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은 특수층에 한하였다. 여성관의 변화로 일반여성들은 외출 시에 장옷이나 쓰개치마를 벗을 수 있게 되었고, 그 대신 조바위 · 아얌 등을 착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양장 착용인구가 증가하면서 조바위나 아얌도 사라지게 되었다.

20세기에 우리 나라에서 착용된 모자는 서구에서 도입된 각종 양식이 있었지만 정장에 모자를 쓰는 규범은 차차 사라지게 되었다. 다음은 우리 나라에서 사용한 대표적인 서양모자의 종류이다.

① 캡(Cap) : 머리모양에 따라 꼭 맞게 된 브림(brim)이 없는 모자를 말한다. 크라운(crown)이 낮은 것과 높은 것이 있으며, 앞챙이 있는 것도 있다. 야구모(Baseball cap) · 수영모(Swimming cap) · 스키모(Ski cap)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근래에는 젊은이들은 운동시에는 물론 일상생활에서도 야구모를 즐겨 착용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② 해트(Hat) : 넓게는 캡도 포함되는 모자 전체를 뜻하는데, 캡과 구별할 때에는 크라운에 브림이 붙은 것을 말한다. 크라운이나 브림의 변화에 따라 여러 가지 해트가 있다. 보다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 중산모 : 더비 해트 나 보울러(Bowler)의 별칭이다. 딱딱한 펠트제로 만들어져 영국신사의 대명사로 되어 있다.

㈁ 중절모(Soft hat) :“소프트 펠트 해트(Soft felt hat)”로 가장 일반적인 비즈니스 웨어용 모자이다. 부드러운 펠트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모양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 밀짚모자 : 밀짚으로 만든 모자의 총칭이다. 챙이 있으며 남녀모두 사용하였다. 남자의 밀짚모자 중에는 맥고모자라고 하는 것이 여름에 많이 사용되었다.

㈃ 실크 해트(Silk hat) : 예장용의 모자. 원통형의 크라운으로 챙이 비교적 좁게 되어 있다. 모닝 코트 · 연미복 등 최고급의 예장용에 쓰인다. 원래는 17세기 후반부터 대유행하였던 “비버 해트”가 기원이며, 격감된 비버 모피를 대신하여 실크천이 쓰여진 것이 이 모자의 시초이다. 오페라 해트(Opera hat) 등의 종류가 있으며, 구미에서는 톱 해트(Top hat), 하이 해트(High hat) 라 부르기도 하고 토퍼(Topper)라는 속칭도 있다. 우리 나라에는 개화기 초기에 상류층 사이에서 잠시 사용되었다.

㈄ 파나마(Panama)모 : 스트로 해트(밀짚모자)의 일종이다. 원래는 에콰도르 · 콜롬비아 등 중남미 야자류의 섬유로 짜진 챙모자를 말한다. 우리 나라의 풍속으로는 국상에 백립을 쓰는데 단발령으로 상투를 자르고 갓을 착용하지 않게 되자 고종의 국장 이후 파나마모를 써서 백립을 대신했다고 하며, 이후 한복에 중산모 · 중절모 등 서구식 모자를 착용하는 복식혼용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③ 베레(Beret) : 둥글 납작하고 부드러우며 챙이 없는 모자를 말한다. 스페인과 프랑스 국경에 위치한 바스크지방에 사는 농민의 모자로, 원래는 울로 만들었으나 지금은 소재가 다양하다. 교복을 비롯한 제복용 모자로도 사용되지만 여성에게는 패션품목 중의 하나이다.

④ 클로쉐[Cloche(프)]: 프랑스어로 “종”이란 뜻이다. 크라운이 높고 브림이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바깥모양이 종과 비슷한 데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1920∼30년대에 신여성 사이에서 유행하였고, 덕혜옹주가 양장에 클로쉐를 쓴 사진도 있다.

⑤ 보닛(Bonnet) : 뒤에서부터 머리 전체를 싸듯이 가리고 얼굴과 이마만 드러낸 모자이다. 크라운이 부드럽게 처리되어 있으며 어원은 힌두어인 “Banat”에서 유래되었다. 개화기 초기에 일부 여학생 교복에 사용된 적이 있으며, 오늘날에는 첫돌 이전 아기용 모자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⑥ 터번(Turban) : 중동 아시아나 인도지방에서 많이 쓰는 모자이다. 긴 천을 머리에 둘러 심한 더위를 피하고 또 바람을 막기 위해서 쓰며, 우리 나라에서는 여성용으로만 사용한다.

⑦ 토크(Toque) : 작고 챙이 없으며 머리에 꼭 맞도록 쓰는 모자이다. 장식은 깃이나 베일로 한다. 근래에는 혼례용으로 웨딩드레스에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⑧ 헬멧(Helmet) :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모자종류의 일종이다. 쇠나 알루미늄제, 플라스틱제 등이 있다. 각종 운동경기모, 공장에서의 작업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⑨ 후드(Hood) : 머리 전체를 덮어 싸는 부드러운 모자이다. 어깨 근처까지 오도록 만든 것도 있다. 코트나 재킷에 붙은 후드를 비롯하여 스키 등의 스포츠용으로 고안된 것도 있다.

→ 관모

참고문헌

『고려도경(高麗圖經)』
『고려사』
『복식사전』(도서출판 라사라, 1991)
『삼국사기』
『한국복식사연구』(김동욱, 아세아문화사, 1973)
『한국복식사연구』(유희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