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용당집 ()

순천 송광사 승탑군
순천 송광사 승탑군
불교
문헌
1724년. 조선 후기의 부휴계 승려 무용 수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이칭
이칭
무용당유고(無用堂遺稿)
약칭
무용집(無用集)
문헌/고서
편찬 시기
1724년(경종 4)
간행 시기
1724년
저자
무용 수연(無用秀演)
편자
영해 약탄(影海若坦)
권책수
2권 1책
권수제
무용당집(無用堂集), 무용집(無用集), 무용당유고(無用堂遺稿)
판본
목판본
표제
무용당집, 무용집, 무용당유고
소장처
서울대 규장각 등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무용당집(無用堂集)』은 조선 후기 부휴계 승려인 무용 수연(無用秀演)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24년에 간행한 시문집이다. 승속을 뛰어넘는 저자의 폭넓은 교유 관계와 유불일치론, 송광사, 선암사, 보림사 등 여러 사찰의 역사와 중창 사적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정의
1724년. 조선 후기의 부휴계 승려 무용 수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간행한 시문집.
저자 및 편자

『무용당집(無用堂集)』의 저자 무용 수연(無用秀演, 16511719)은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용안면 출신으로 19세에 순천 송광사(松廣寺)의 혜관(惠寬)에게 출가했다. 20대에 순천 선암사(仙巖寺)침굉 현변(枕肱懸辯, 16161684)에게 배우게 되었을 때, ' 원돈(圓頓)의 법이 모두 네게 있다'라며 현변의 인정을 받았다. 또한 부휴계(浮休系)의 적전인 송광사의 백암 성총(栢庵性聰, 1631~1700) 밑에서 경전을 두루 익히고 그의 법을 전수받았다. 낙안 징광사(澄光寺)에서 강의하고 칠불암(七佛庵)에서도 교화를 펼쳤으며 선 · 교 · 염불 삼문(三門)으로 제자들을 가르쳤다.

무용 수연은 성총이 『화엄연의초(華嚴演義抄)』 등 중국 가흥대장경의 불서를 복각할 때 그 책들을 전해 받아 불법의 정수를 얻었다고 한다.

서지사항

『무용당집』은 1724년(경종 4) 순천 조계산 송광사에서 간행되었다. 2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판본이다. 『무용당유고(無用堂遺稿)』라고도 한다.

구성과 내용

이 책의 구성은 찬국옹(餐菊翁)의 서문, 권상, 권하, 행장(行狀) 순으로 되어 있다. 권상에는 장단시(長短詩) 4편, 오언절구 4편, 칠언절구 21편, 오언율시 13편, 칠언율시 36편이 수록되어 있다. 『무용당집』에는 스승 백암 성총, 불교와 가까웠던 명유 삼연(三淵) 김창흡(金昌翕) 등 승려뿐 아니라 세속의 명사들과 주고받은 시가 적지 않다. 또한 자연 및 사찰을 읊은 시가 많은데, 가지산 보림사(寶林寺)를 대상으로 지은 칠언율시는 절의 역사와 경관을 잘 드러내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권하에는 서간문, 서문, 모연문(募緣文), 기문, 소문(疎文), 제문 등 44편의 글이 실려 있다. 먼저 최정언(崔正言), 임교리(林校理), 호남의 방백(方伯) 최상국(崔相國) 등과 주고받은 편지글에서 승속을 넘나드는 무용 수연의 교유(交遊) 관계를 엿볼 수 있다. 이어 불서를 판각할 때 쓴 서문, 중창불사(重創佛事)를 위한 모연문과 상량문, 불교 의례 때 사용하는 소문과 기문 등도 있다. 「심경소기회편서(心經疏記會編序)」는 『반야심경』과 주석서를 다시 내면서 그 가치를 선양한 글이고, 「중간선문염송설화서(重刊禪門拈頌說話序)」는 『선문염송』을 간행하게 된 이유와 과정, 『선문염송』의 유래 및 내용을 소개하고 있는 글이다. 부휴계의 조사 부휴 선수(浮休善修, 1543~1615), 스승 백암 성총을 위한 제문도 보인다.

책의 말미에는 제자 영해 약탄(影海若坦, 1668~1754)이 본서를 간행하면서 쓴 수연의 행장이 수록되어 있다.

의의 및 평가

이 책을 통해 승속을 뛰어 넘은 무용 수연의 폭넓은 교유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책에 실린 「상강남부백계(上江南府伯啓)」에서는 공자와 부처의 도가 상반되는 것 같지만 일심(一心)에 기반한 것이라는 유불의 근본적 일치를 주장하는 내용이 나오는데, 이를 통해서 무연 수연의 유불일치론을 확인할 수 있다. 더구나 이 책에 수록된 송광사, 선암사 등의 사찰 중수 때 사용한 모연분과 상량문은 사찰의 역사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도 자료적인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동사열전(東師列傳)』
『무용당유고(無用堂遺稿)』
『조계고승전(曹溪高僧傳)』

단행본

이상현 옮김, 『(한글본 한국불교전서 조선 24) 무용당유고』(동국대학교 출판부, 2015)

논문

권동순, 「무용수연의 선시 연구」(『한국선학』 34, 2013)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