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재고택 ()

목차
관련 정보
묵재고택
묵재고택
주생활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전기 행랑채 · 정침 · 사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묵재고택(默齋古宅)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민속문화유산(1989년 05월 29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풍산읍 장태골길 38 (소산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있는 조선전기 행랑채 · 정침 · 사당 등으로 구성된 주택.
내용

1989년 경상북도 민속자료(현, 민속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이 집은 소유자의 선조(先祖)들이 대대로 살아왔으나 창건자와 건립년대는 기록으로 전하여 내려오지 않는다.

다만 사당(祠堂)의 암막새기와 내림새면에 새겨진 정덕(正德) 10년이라는 기록으로 보아 사당은 1515년에 건립된 것으로 생각되며 정침(正寢 : 집 안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집 또는 방)도 이 무렵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된다.

배치는 一자형의 행랑채와 H자형의 정침이 튼 口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오른쪽 언덕 위에는 사당(祠堂)이 자리잡고 있다. 정침은 주거건축에서 옛날식의 평면형으로 알려져 있는 H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구성은 정면에 안방과 대청을 두고 왼쪽에는 부엌과 윗방을, 오른쪽에는 도장방 · 통래간 · 사랑방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가구(架構)는 3량가(三樑架)의 간결한 구조이나, 대공(臺工)의 형태는 동자기둥의 윗몸을 빗깎아 그 위에 당초무늬를 새긴 부재(部材)를 놓고 소로(小櫨)와 장여를 받게 한 주거건축에서는 보기드문 수법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경상북도문화재도록(慶尙北道文化財圖錄)』(동해문화사, 1995)
『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文化財指定調査報告書)』(경상북도, 1989)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