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수사 지장보살도 ( )

목차
관련 정보
서산 문수사 지장보살도
서산 문수사 지장보살도
회화
작품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태봉리 문수사 극락보전에 있는 조선 후기의 불화.
내용

1774년(영조 50년) 작. 비단 바탕에 채색. 세로 158㎝, 가로 132㎝. 중앙의 수미대좌(須彌臺座) 위에 지장보살이 결가부좌(結跏趺坐)하고, 그 주위를 지장의 협시인 도명존자(道明尊者)·무독귀왕(無毒鬼王)·명부시왕(冥府十王)·천부중(天部衆)·사자(使者) 등이 에워싸고 있는 타원형 구도를 이루고 있다.

즉, 인물들이 지장보살의 신광(身光) 주위를 따라 둥글게 배열된다. 그리고 그 가장자리에 다시 인물들이 배열되어 양옆이 부푼 타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왼손에는 석장(錫杖 : 중이 짚는 지팡이), 오른손에는 투명한 보주(寶珠)를 들고 청련화(靑蓮華) 위에 앉아 있는 지장보살은 어깨가 딱 벌어져 신체는 대장부같이 건장하고 안정된 모습을 보여 준다. 하지만 허리가 약간 길어 어딘지 어색한 느낌이 든다.

머리에는 점무늬가 박힌 투명한 흑두건(黑頭巾)을 쓰고 있어 귀 뒤로 장식이 늘어져 있다. 이 두건은 어깨까지 내려와 넓게 어깨를 덮고 있다. 얼굴은 매우 섬세한 필선을 구사하였지만 약간 도식화되었다. 본존 좌우로는 도명존자(합장)와 무독귀왕(笏을 들었음) 및 시왕 등이 시립하고 있다.

이중 시왕은 붉은색 또는 녹색의 옷을 입고 면류관에 홀(笏)을 든 일반적인 모습이다. 왼쪽의 황색옷을 입고 면류관을 쓴 왕은 제5 염라대왕(閻羅大王)을 표현한 것 같다. 그러나 이 왕 외에 좌우 각 한 왕씩 면류관을 쓴 것이 눈에 띈다. 이것은 아마도 불화의 도상이 경전에 의한 교리적 해석에서 화가의 독창성에 의한 표현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는 듯하다.

붉은색과 녹색이 주조를 이루고 있는 이 불화는 전반적으로 흰색이 섞인 탁하고 두꺼운 설채법을 구사하고 있다. 색상이라든가 도상적 표현, 전체적 분위기 등에서 1791년(정조 15년) 작 경기도 화성 만의사(萬義寺)에 봉안된 지장보살도와 흡사한 면을 많이 보이고 있다. 필선은 그리 세련된 편은 아니나 얼굴 부분은 상당히 섬세하게 그려져 마치 초상화를 보는 듯한 느낌이 든다.

이 불화는 건륭 39년(1774년) 신홍(信弘)을 비롯한 10여 명의 시주에 의하여 조성되어 문수사 청련암(淸蓮庵)에 봉안되었다. 수해(守海)·정관(淨寬)·영인(永印)·정순(定淳)·승택(勝擇)·선홍(善弘)·승익(承益) 등이 화사(畫師)로서 참여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의 미 』16-조선불화-(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조선조후기 지장보살화연구」(김정희, 『한국미술사논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김정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