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학은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화, 계통화함과 아울러 비평, 해석하는 학문이다. 여기에서 문헌이라는 용어는 전적·서적·서책·도서 등을 포괄할 뿐 아니라 금석 등에 기재된 문자들도 포함한다. 다양한 삶의 물증인 문헌을 정리, 편찬, 또는 주석하여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작업이다. 연구 부문은 형태론, 문자론, 생성배경론, 전승·변화론, 고증론, 원전비평론, 번역주석론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목록학·판본학·훈고학·교수학 등 학문의 체계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독립된 학문이 아니라, 주학문의 문헌적 이해라는 개별적·보조적 성과에 머무르고 말았다.
사람은 의사를 표출할 수 있는 언어를 가졌기 때문에 삶의 표현이 구체적으로 가능하며, 그 구체적 표현이 가시적 언어형식(可視的言語形式)으로 영속화, 고정화된 물증이 곧 ‘문헌’인 것이다.
다양한 삶의 물증인 문헌을 정리, 편찬, 또는 주석하여 체계적으로 인식하는 작업이 곧 ‘문헌학’이다. 그러므로 문헌학은 이미 표출된 삶의 물증이라는 점에서 ‘인식된 것에 대한 인식작업’이라 하겠다.
삶의 근원적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서의 직접적 학문이 아니라 정신의 소산인 문헌이라는 물증의 체계적 인식이 그 본령이기 때문에 순수학문적 독자성을 지니면서도 방법론적 학문의 성격도 가지고 있다.
문헌이라는 용어는 현재 우리들이 구별없이 쓰고 있는 전적(典籍) · 서적(書籍) · 서책(書冊) · 도서(圖書) 등을 포괄할 뿐 아니라 금석(金石) 등에 기재된 문자들도 이 개념 속에 포함된다.
문헌이라는 말이 처음으로 쓰인 것은 『논어』의 팔일(八佾)에 나오는 공자(孔子)의 말 가운데 “문헌이 부족한 때문이다[文獻不足故也].”라는 데서 비롯되었다. 한(漢) · 송(宋)의 학자들은 ‘문(文)’은 사실 기록의 전적을 의미하며, ‘헌(獻)’은 현인들의 논평을 뜻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문헌이 저술이라는 명칭으로 처음 나타난 것은 송말(宋末) · 원초(元初)의 학자 마단림(馬端臨)이 지은 『문헌통고(文獻通考)』였다. 그는 이 책의 서문에서 믿을 수 있는 사실의 서술을 ‘문’, 학사명류(學士名流)들의 사실에 대한 논평을 ‘헌’이라고 하고, 역대 전장(典章)과 제도(制度)에 관하여 서술하였다.
이렇게 문물제도 등 문화사상(文化事象)의 총체적 의미로 쓰이던 것이 뒷날 각종 ‘서적’이라는 뜻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명나라의 성조(成祖)가 만든 『영락대전(永樂大典)』도 처음 『문헌대전(文獻大典)』이라 하였던 것으로 보아도 이때 벌써 ‘서적’이라는 뜻으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 있어서도 『문헌비고(文獻備考)』 · 『동국문헌록(東國文獻錄)』과 같은 저술은 문물제도라는 문화적 용어로 쓰였지만 『해동문헌록(海東文獻錄)』은 ‘서적’이라는 뜻으로 쓰였다.
이렇게 볼 때 문헌이라는 용어는 인간의 삶이 가시적 언어형식으로 표출된 물증인데, 삶의 믿을 수 있는 서술과 그 삶에 대한 현명한 논평의 역사기술이라는 본래적 의미로부터, 요즈음에 와서는 그 기록물 자체 즉 서적이라는 의미로 확대, 차용되어 현재에 쓰이고 있다.
이렇게 삶의 물증으로 영속화, 고정화된 다양한 문헌을 정리, 편찬하며 주해하는 데 새로운 관점과 체재를 창출하여 조직화, 계통화하고 그것을 비판, 해석하는 재인식작업을 문헌학이라 할 수 있다.
그 접근방법은 다음과 같이 나누어진다. 주어진 대상인 문헌은 어떠한 형식으로 되어 있는가, 그 기사(記寫)의 양태는 어떤가, 그 생성의 문화적 배경은 어떤가, 어떠한 연유 속에 전승되고 변화하였는가, 담긴 내용기록은 정확한 것인가, 어떤 것이 본래의 원본인가, 번역과 주석은 어떠한 양식을 보이고 있는가 등의 시각에서 접근할 수 있다.
그러므로 문헌학연구의 부문으로서 형태론(形態論), 문자론(文字論), 생성배경론(生成背景論), 전승 · 변화론(傳承變化論), 고증론(考證論), 원전비평론(原典批評論), 번역주석론(飜譯注釋論)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접근을 하려면 어느 학문보다도 보조과학적 지식을 원용(援用)하게 되는데, 가장 밀접한 보조과학은 문자학 · 언어학 · 문예학 · 역사학 · 민속학 · 심리학 등이다.
이와 같은 보조과학의 기초가 없으면 문헌연구는 소기의 성과를 얻기가 어렵다. 문헌연구는 중국에서는 일찍부터 활발하여 목록학(目錄學) · 판본학(版本學) · 훈고학(訓詁學) · 교수학(校讐學) 등 학(學)으로의 체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독립된 학으로서의 체계를 생각한 연구가 아니라, 주학문(主學問)의 문헌적 이해라는 개별적 · 보조적 성과에 머무르고 말았다.
이와 같은 개별적 연구성과를 체계화하고 이론화하는 것이 앞으로 한국문헌학이 해야 할 과제인 것이다. 일본에서는 서구의 ‘philology’를 처음 받아들이면서 문헌학이라고 번역하였다.
서양의 문헌학(philology)은 한 민족 또는 여러 민족이 남긴 모든 분야의 유형 · 무형의 문화적 소산, 특히 언어적 소산을 자료로 하여 연구하고 그 결과를 매개로 하여 한 민족 또는 여러 민족의 고대생활과 문화에 관한 전체상을 창조적으로 재현하려고 하는 통일적 문화과학을 뜻한다.
이들의 구체적 실현은 쉬운 일이 아니어서 통일적 문화과학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을 잃고 그 개념의 변이를 가져왔다.
가령, ‘English philology’라 한다면 영국문헌학이라는 뜻이 아니고 영어학을 뜻하게 되었다. 따라서, 서구의 ‘philology’를 번역한 문헌학과 우리 나라나 중국에서 쓰는 문헌 그 자체에 대한 재인식인 문헌학과는 개념상 차이를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