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레방아

목차
관련 정보
물레방아 / 나도향
물레방아 / 나도향
현대문학
작품
나도향(羅稻香)이 지은 단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나도향(羅稻香)이 지은 단편소설.
내용

1925년 9월 『조선문단(朝鮮文壇)』에 발표되었다. 나도향의 후기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작품 중의 하나로,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마을에서 가장 부자이며 세력 있는 신치규(申治圭)는 자기 집 움막에 사는 이방원(李芳源)의 아낙에게 눈독을 들인다. 오십줄에 들어선 그는 이제 갓 스물을 넘긴 아낙을 물레방앗간 옆으로 불러내어 갖은 말로 꾄다.

그에게로 와서 아들 하나만 낳아주면 움막 신세를 면할 뿐 아니라 모든 것이 다 그녀의 것이 될 것이라고 하자, 가난에 지친 데다 윤리의식이 박약한 여자는 솔깃한다. 여자는 신치규와 함께 물레방앗간 안으로 들어간다. 사흘 뒤부터 신치규는 이방원을 자기 집에서 내쫓으려고 한다.

두 사람이 물레방앗간에서 같이 나오는 것을 목격한 이방원은 사태를 짐작하고 부부싸움을 벌이는데, 이때 그는 자신의 아내를 감싸는 신치규를 구타한다. 이방원은 상해죄로 구속되어 석달간 복역하게 되고, 신치규는 여자를 차지하게 된 것에 만족해 한다.

석달 뒤 출감한 이방원은 분김에 두 남녀를 살해할 생각이었으나 마지막으로 한 번 더 아내의 본심을 물어본다. 그러나 이미 마음이 떠난 여자는 같이 도망하자는 이방원의 청을 듣지 않는다. 이방원은 가지고 있던 칼로 여자를 죽이고 자결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가난과 상실의 문제를 주조로 한 1920년대 우리나라 사실주의의 대표작이다. 식민지시대 우리나라 농촌의 구조적 가난이 전통적인 성윤리의식과 변질과 맞물려 일어나는 갈등을 잘 보여주고 있다. 경제적 문제와 인간적 본능간의 관계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관찰이 높은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갈등의 고조가 죽음으로 이어지는 과정은 수직적 관계를 거부하는 '이방원'의 적극적인 측면으로도 해석이 가능하다. 특히, 자연적 배경의 일부이면서 경제적 문제와 에로티시즘이 결부된 객관적 상관물인 물레방앗간의 설정은 작품의 전달을 성공적으로 만드는 데에 크게 기여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소설사』(이재선, 홍성사, 1979)
『한국문학사』(김윤식·김현, 민음사, 1973)
「나도향의 '물레방아'와 최서해의 '홍염'에 나타난 인간상의 비교」(오양진, 『현대소설연구』 44, 한국현대소설학회, 201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