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심소리

목차
국악
작품
전라도 · 충청남도 등 우리 나라 서남쪽 지방에서 불리는 벼 타작소리의 일종.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도 · 충청남도 등 우리 나라 서남쪽 지방에서 불리는 벼 타작소리의 일종.
내용

‘바심’이라는 말은 타작을 의미하는 방언으로, 개상질 혹은 매통질이라고도 한다. 벼 · 보리 등의 농사를 많이 짓던 우리나라에서는 이런 곡식류의 타작이 농사일 중 큰일의 하나였다.

전통사회에서는 볏단이나 보릿단의 나락을 털어내기 위해서 도리깨로 내리치거나 삼지창 모양의 홀태기로 훑고, 또는 절구통이나 커다란 나무통을 옆으로 눕혀 놓고 그 위에 볏단을 내리쳐서 나락을 털어내었다. 도리깨로 내리치는 방법이 도리깨질인데 주로 보리타작에 사용하였고, 그것은 경상도지방의 「도리깨질소리」로 잘 알려져 있다.

벼의 타작은 주로 두 번째 방법인 홀태기질이나 세번째 방법인 바심질을 이용한다. 바심질은 특히 벼가 많이 부서지기 때문에 ‘벼를 부순다’는 의미에서 바심질이라 한다. 「바심소리」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데, 노래부르는 형식은 대개 간단한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숙련된 일꾼은 보통 볏단을 서너번 내리쳐서 타작을 끝내게 되는데, 이 때 부르는 「바심소리」한 곡의 구성은 볏단을 하나 집어들고 서너번 내리치고 타작이 끝난 볏단을 뒤로 던지는 동작에 맞도록 짜여져 있다.

전북 익산시에서 조사된 「바심소리」를 보면, 조금 빠른 3분박 4박자의 장단에 선소리꾼이 한두 장단 앞소리를 메기면 일꾼들이 ‘에야 헤 에야 헤’라는 한 장단으로 된 뒷소리로 받는다. 이 지역의 「바심소리」는 육자배기토리로 되어 있으며, 곡풍은 매우 씩씩한 느낌을 준다.

참고문헌

『전라북도국악실태조사』(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82)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민요아카이브자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