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병채 ()

목차
언어·문자
인물
해방 이후 『『홍무정운역훈』의 신연구』, 『고대국어의 연구: 음운편』, 『국어발달사』,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이칭
우운(于雲)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25년
사망 연도
1993년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해방 이후 『『홍무정운역훈』의 신연구』, 『고대국어의 연구: 음운편』, 『국어발달사』,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등을 저술한 학자. 국어학자.
내용

호는 우운(于雲).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전주 출생. 1951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1975년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63년 3월부터 정년에 이르기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많은 후학들을 교육하였고, 박물관장 등의 행정보직을 역임하였다. 1990년 정년퇴임하고 명예교수로 임명되었으나 3년 후 숙환으로 별세하였다.

국어의 역사적 연구에 많은 업적이 있으며 특히 훈민정음 창제와 관련된 운서인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의 신연구와 고대국어의 음운연구에서 뛰어난 이론을 남겼다.

전자의 연구는 고려대학교에 소장된 『홍무정운역훈』의 판본에 대한 서지적 연구와 더불어 이 운서의 한자음 표기를 체계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후자의 연구는 고대국어의 지명연구를 통하여 고구려어를 비롯한 삼국시대의 언어를 실증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주요 저서로는 『『홍무정운역훈』의 신연구』, 『고대국어의 연구: 음운편』, 『국어발달사』, 『고려가요의 어석연구』 등이 있다.

참고문헌

「박병채선생의 문법론」(성광수, 『한국어학』1, 199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