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열질

목차
국악
개념
전통 관악기에서 사용된 연주법. 반규법.
이칭
이칭
반규법(半竅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통 관악기에서 사용된 연주법. 반규법.
내용

손가락으로 구멍을 막는 안공법(按孔法) 가운데 운지법(運指法)의 일종으로, 반규법(半竅法)이라 한다.

음절이 느리고 완만한 음악을 연주하는 아악기(雅樂器) 중 관(管)·약(籥)·적(笛)·훈(塤)·지(篪)와 같은 관악기는 3∼5개 정도의 적은 구멍(指孔)으로 12율(律) 및 12율4청성(十二律四淸聲)을 내야 하기 때문에 구멍을 반만 막거나 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 구멍을 반만 막는 것을 반규법, 3분의 1 가량 막는 것을 약반규(弱半竅), 3분의 2 가량 막는 것을 강반규(强半竅)라고 한다. 짚는 모양에 따라 약간씩 달라서 상하 또는 좌우로 막는다.

관악기들 가운데 비교적 빠르고 장식음이 많은 음악을 연주하는 대금(大笒)이나 단소(短簫)는 악기의 체제나 구조상 남려음(南呂音)을 낼 때 반규법을 사용하여야 하나, 지법(指法)의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역취(力吹)·평취(平吹)·저취(低吹)의 방법으로 음의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어려운 반규의 운지법을 피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국악총론』(장사훈, 정음사, 1976)
『한국전통음악의 연구』(장사훈, 보진재, 1975)
『한국악기대관』(장사훈, 한국국악학회, 196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