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와 충청남도 지방의 논매기소리의 일종.
「방개타령」이라고도 한다. 방개소리라는 명칭은 이 소리의 뒷소리에 “방개로세”라는 말이 나오는 데서 비롯된 것이다. 전라도와 충청도 지방의 농요는 논매기소리가 발달하여 그 종류가 다양한데, 그 중 가장 넓게 퍼져 있는 논매기소리 중의 하나가 「방아타령」이다. 「방개소리」는 방아소리의 사투리라고 추측되는데, 주로 전라도 서부의 넓은 지역에서 불린다.
전북특별자치도 순창읍 가잠마을에서 조사된 「방개소리」는 마지막 논매기인 만두레를 끝내고 장원질이라 하여 소를 타고 춤추며 마을로 들어오면서 부르는 소리인데, ‘느린방개소리’와 ‘자진방개소리’가 있다.
느린방개소리는 3소박 보통 빠른(3소박 1박자=100) 4박자가 주를 이루지만 불규칙하게 박자가 변한다. 장절형식이고,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 선소리꾼이 서너 장단의 길이로 앞소리를 메기면 일꾼들이 역시 서너 장단의 길이로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하고 받는다.
선율은 솔 · 도 · 레 · 미 · 솔로 구성되는 경토리로서 가끔 미가 낮아지고 꺾는 목을 써서 육자배기 토리의 특징을 나타내기도 한다. 자진방개소리는 느린방개소리에 이어서 부르는 것으로, 3소박 좀 빠른 박자로 4박자 ·5박자 ·6박자가 불규칙하게 혼합되어 있다. 역시 장절형식이나 메기고 받는 소리 모두를 제창으로 부른다. 받는 소리는 메기는 소리의 절반 정도의 길이로 되어 있다.
이 지방의 「방개소리」 사설은 다음과 같다.
(방개소리)
(내드름)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
(메김) 가자 가자 에헤야 어서나 가자
(받음)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
(메김) 이수 건너서 백노나 가세
(받음)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
(메김) 임아 임아 나헤 나를 잡지 마소
(받음)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
(메김) 서산에 지는 해는 호헤헤 붙잡아 매소
(받음) 에헤야 허어 허이이이 나헤야 바앙개로세.
(자진방개소리)
(메김) 이팔 청춘 소년덜아 백발 보고서 보지를 말아
(받음) 헤 헤헤야 헤헤야 방개로 노자
(메김) 일어를 나소 일어를 나소 애기 어멈 일어를 나소
(받음) 헤 헤헤야 헤헤야 방개로 노자
(메김) 각장 장판 여다지 속에 잠든 큰 큰아가 날 날 깨와 돌아
(받음) 헤 헤헤야 헤헤야 방개로 노자
(메김) 노다나 가세 노다나 가세 월선이 방으로 노다나 가세
(받음) 헤 헤헤야 헤헤야 방개로 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