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선전협의회 ()

목차
근대사
단체
1937년 서울에서 설립되었던 친일사회단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937년 서울에서 설립되었던 친일사회단체.
내용

총독부 사회교육과의 주동과 주선으로 창설되었다. 조선어 방송강좌를 통해서 대중의 일본적 교화 계몽의 실현을 도모하였으며, 수양강좌·부인강좌·상식강좌의 3부문으로 나뉘어 실행되었다.

각 부문의 강사는 총독부가 위촉하였으며, 이들 강사진과 총독부 관계관, 방송국의 3자 협의로 방송을 통한 교화 계몽행사가 실시되었다.

1937년 1월 현재의 강사진은 아래와 같다. ① 수양강좌:권상로(權相老)·안인식(安寅植)·주종선(朱鍾宣)·한규복(韓圭復) 및 일본인 오쿠야마(奧山仙三), ② 부인강좌:고황경(高凰京)·김분옥(金粉玉)·김현실(金縣實)·김활란(金活蘭)·서은숙(徐恩淑)·송금선(宋今璇)·손정규(孫貞圭)·안수경(安壽敬)·이숙종(李淑鍾)·현헌(玄櫶).

③ 상식강좌:강원수(姜元秀)·김성호(金聖浩)·김영상(金永祥)·김병욱(金秉旭)·박종섬(朴鍾澹)·서춘(徐椿)·송찬식(宋璨植)·안동혁(安東爀)·윤태빈(尹泰彬)·이응준(李應俊)·장용진(張庸震). 위의 강사진은 교육자를 중심으로, 총독부관료·언론인·군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일제말(日帝末) 친일군상(親日群像)의 실태」(임종국, 『해방전후사(解放前後史)의 인식(認識)』 1, 한길사, 197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