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일진 ()

인물
일제강점기 때, 학교를 설립하고, 교사로 재직하며 일본의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연설을 진행하였고, 안동현임시의사회 청년단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83년(고종 20)
사망 연도
1921년
출생지
평안북도 의주
관련 사건
105인 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학교를 설립하고, 교사로 재직하며 일본의 침략행위를 규탄하는 연설을 진행하였고, 안동현임시의사회 청년단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 독립운동가.
생애 및 활동사항

평안북도 의주 출신. 기독교 전도사로서 1904년 김관근(金灌根)과 함께 의주에 양실학교(養實學校)를 설립하였다. 1908년 의주군 내 사립학교 연합대운동회에서 일본의 침략정책과 그 만행을 규탄하는 연설을 하였다. 1910년 평안북도 선천의 신성중학교(信聖中學校) 교사가 되었으나, 이듬해 105인사건에 연루되어 5년형을 선고받았다.

그 뒤 석방되어 1919년 중국으로 건너가 김승만(金承萬)·여순근(呂淳根) 등과 함께 중국 안둥(安東)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계통단체인 안동현임시의사회(安東縣臨時議事會)를 결성하여서 청년단장으로 활약하던 중, 1921년 일제에 의하여 붙잡혔다. 같은 해 병보석으로 출감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3년에 대통령표창, 1990년 애족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대한민국 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독립운동사자료집』임시정부사자료집 7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