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이경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제도
삼국시대, 백제 도성의 기능을 한 양성(兩城).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삼국시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백제이경은 삼국시대에 백제 도성의 기능을 한 양성(兩城)이다. 『구당서』 백제전에 왕은 동 ‧ 서 양성에 거주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위치는 사비와 웅진, 익산과 웅진이 언급되고 있다. 반면 사비를 포함시킬 경우 사비와 익산 혹은 사비와 웅진이 거론되기도 한다.

목차
정의
삼국시대, 백제 도성의 기능을 한 양성(兩城).
내용

삼국시대에 백제의 2개 수도를 말한다. 『구당서(舊唐書)』 백제전에 따르면 왕은 동 ‧ 서 양성에 거주한다고 기술되어 있다. 동 ‧ 서 양성의 후보로는 먼저, 사비를 제외한 익산과 웅진이 언급되고 있다. 익산은 백제의 또 다른 도읍지 내지는 별도의 부(部) 역할을 하였다는 관점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별궁 내지는 이궁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기 때문에 의견이 엇갈린다.

반면 웅진으로 보는 견해는 사비 시기에 왕이 자주 행차하였던 곳은 웅진성이며, 무왕의자왕 대 관련 기록을 통해서 입증된다. 실제 630년(무왕 31), 사비궁을 수리할 때 왕이 웅진성에 행차하였다는 점에서 또 하나의 수도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본다면 익산과 웅진은 도읍인 사비와 별도로 수도의 역할을 하였다고 생각된다. 익산과 웅진 지역은 동 ‧ 서 방향이라는 점에서도 일치한다.

이와 달리 사비 지역도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구당서』에서 언급되는 서융(西戎) 파사국(波斯國)의 경우 왕은 두 성에 거주한다고 하여 이궁과 구별하고 있다. 이러한 예에 따라 사비 지역을 포함한다면 2개의 수도 가운데 하나는 웅진 혹은 익산으로 보아야 한다. 이에 따라 사비와 익산 혹은 사비와 웅진이 각각 거론되기도 한다. 다만 사비를 포함시킬 경우 동서 방향에 대한 해석이 관건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신형식, 『백제사』(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2)

논문

정재윤, 「웅진성의 역사적 가치와 의미」(『백제문화』 59,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8)
박순발, 「백제 도성의 시말」(『중앙고고연구』 13, 중앙문화재연구원, 2013)
강종원, 「백제 무왕의 태자 책봉과 왕권의 변동」(『百濟硏究』 54,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1)
田中俊明, 「百済の副都・複都制と東アジア」(『충청학과 충청문화』 11,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0)
이도학, 「백제 무왕대 익산 천도설의 재검토」(『경주사학』 22, 동국대학교사학회, 2003)
김수태, 「웅진성의 변천」(『백제문화』 30,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1)
김주성, 「백제 사비시대의 익산」(『한국고대사연구』 21, 한국고대사학회, 2001)
윤무병, 「백제 왕도 사비성 연구」(『학술원논문집』 33, 대한민국학술원, 1994)
坂元義種, 「譯注中國史書百濟傳(『舊唐書』百濟傳)」(『百濟史の硏究』, 1987)
今西龍, 『百濟史硏究』(近澤書店, 193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