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미령전투 ()

목차
관련 정보
고대사
사건
관미령에서 벌어진 백제와 말갈 · 고구려와의 전투.
사건/전쟁
발발 시기
387년(진사왕 3)|392년(진사왕 8)|393년(아신왕 2)
발발 장소
관미령|관미성
관련 국가
백제|말갈|고구려
관련 인물
진사왕|아신왕|광개토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관미령전투(關彌嶺戰鬪)는 관미령에서 벌어진 백제와 말갈 · 고구려와의 전투이다. 위치에 대해서는 경기도 파주 오두산성, 예성강 중류 남안, 강화 교동도의 화개산성, 강화 하음산성, 황해도 개풍군 백마산 부근으로 보는 설 등이 있으나, 이 중 오두산성으로 보는 설이 대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관미령과 관미성은 고구려의 남하로이자 백제 북방의 요충지였고, 이곳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목차
정의
관미령에서 벌어진 백제와 말갈 · 고구려와의 전투.
내용

백제 진사왕 3년(387) 가을 9월 말갈과 싸운 전투이다. 이 전투에서 백제는 패하였으며, 명칭으로 미루어 관미성과 연관되는 고개이다. 이후 진사왕 8년(392) 관미성에서 고구려와의 전투를 벌였다. 광개토왕 즉위 해(391)에 벌어진 이 전투에서 고구려군은 일곱 방향으로 나누어 공격한 지 20여 일만에 함락시켰다고 한다. 백제본기와 고구려본기가 1년이 다른 것은 즉위년칭원법과 유년칭원법에 의한 차이로, 동일한 사건으로 본다.

관미성의 위치는 전투 장면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는데, 성은 사면이 깎은 듯 가파르고 바닷물에 둘러싸여 있다고 묘사되었다. 이에 대해서는 경기도 파주 오두산성, 예성강 중류 남안으로 추정되는 관미령에 축조된 성, 강화 교동도의 화개산성, 강화도 하음산성, 황해도 개풍군 백마산 부근으로 보는 설 등이 있으나, 이 중 오두산성으로 보는 설이 지형 묘사 및 당시 상황과 일치하여 대체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진사왕을 이어 즉위한 아신왕은 재위 2년(393) 가을 8월에 진무에게 군사 1만 명을 이끌고 관미성을 공격하게 하였으나, 고구려가 성문을 닫고 굳게 지켜 실패하였다. 이처럼 관미령과 관미성은 고구려의 남하로이자 백제 북방의 요충지였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이 전투에서 패함으로써 이후 백제는 광개토왕릉비에 의하면 고구려에게 58성 700촌을 빼앗긴 것이 기술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윤명철, 『고구려 해양사연구』(사계절, 2003)
李丙燾 역주, 『삼국사기』(을유문화사, 1977)
朴時亨, 『廣開土王陵碑』(사회과학출판사, 1966)

논문

尹日寧, 「關彌城位置考-廣開土王碑文, 三國史記, 大東地志를 바탕으로-」(『북악사론』 2, 1990)
손영종, 「광개토왕릉비를 통하여 본 고구려의 령역」(『력사과학』 2,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