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하수오부자이중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한병 중 태음증의 설사 · 복통 등의 증세를 치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이한병 중 태음증의 설사 · 복통 등의 증세를 치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처방.
내용

소음인은 비위(脾胃)의 기운이 부족한 체질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음(裡陰)이 제대로 하강하지 못하므로 이한병이 생기기 쉽다.

위수한이한병(胃受寒裡寒病)의 주요 병증은 태음복통증(太陰腹痛證)과 소음하리증(少陰下痢證)으로 크게 나뉘는데, 태음증은 복통과 설사가 있으면서 구갈(口渴)은 없고 식욕은 정상인 증후군을 말하고, 소음증은 복통과 설사·구갈이 있으면서 식욕부진도 같이 나타나는 증후군이다.

치료는 태음증에 있어서는 성질이 더운 약으로 위허한증을 치료하고 이음을 하강시키고(溫胃而降陰), 소음증에 있어서는 비가 허한 것을 든든하게 하고 이음을 하강시키는(健脾而降陰) 데 주안점을 두고 이루어진다. 이 처방은 태음증의 복통·설사에 사용하여 이음을 하강시켜줌으로써 병증을 치료해주는 것이다.

처방의 내용은 백하수오(白何首烏)·백출[白朮炒]·백작약[白芍藥微炒]·계지(桂枝)·건강[乾薑炮] 각 25g, 진피(陳皮)·감초(甘草)·부자[附子炮] 각 3.75g이다. 적응증으로는 소음인의 태음증, 토회(吐蛔)·중한(中寒)·온역(溫疫)·냉체(冷滯)·해수(咳수)·충적(蟲積)·냉적(冷積)·회적(蛔積)·체설(滯泄)·서설(暑泄)·허설(虛泄)·면한(面寒)·흉통(胸痛) 등이 있다.

이 처방은 관계부자이중탕(官桂附子理中湯)에서 인삼과 백하수오를 바꾸고 관계(官桂)와 계지(桂枝)를 서로 바꾼 처방이다. 백하수오와 인삼의 차이에 대해서 이제마(李濟馬)는 “백하수오와 인삼은 서로 비슷한 데가 있으나 백하수오는 청월(淸越: 眞陽을 품고서 넘어간다는 뜻)하는 힘이 인삼보다 못하고 온보(溫補)하는 힘은 인삼보다 월등하다.”고 했다.

그리고 계지는 폐와 방광경에 들어가 발한해기(發汗解肌)하면서 조화영위(調和營衛)하는 약이고, 육계는 간과 신경(腎經)에 들어가 명문상화(命門相火)를 보하는 약으로 온표(溫表)와 온리(溫裡)의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주석』(한동석, 성리회출판사, 196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