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빛이 흰 노을과 같다고 하여 백하주라 하며, 일명 ‘방문주(方文酒)’라고도 한다. 청주를 대표하는 술로, 후세에 약주의 대명사가 되었다.
고려시대부터 빚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동국이상국집』·『고사촬요(攷事撮要)』·『주방문』·『산림경제』·『증보산림경제』·『규합총서(閨閤叢書)』 등에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가장 오래된 제조법으로서 『고사촬요』에 이양법(二釀法)으로 백하주를 빚는 법이 기록되어 전한다. 깨끗이 씻은 쌀 한 말을 가루내어 그릇에 담고, 끓는 물 세 병을 섞어서 식힌 뒤에 누룩가루 한 되와 주모 한 되를 섞어 독에 넣는다.
그리고 3, 4일이 지난 뒤 다시 쌀 두 말을 깨끗이 씻어 쪄서 끓는 물 여섯 병을 섞어서 식힌 뒤에 술밑에 합하고, 여기에 누룩가루 한 되를 얹어서 조화하면 7, 8일 만에 숙성하는데, 종이 심지에 불을 붙여 독 속에 넣어서 불이 꺼지면 다 익은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증보산림경제』에서는 쌀 한 말을 가루내어 항아리에 넣고 뜨거운 물 세 병을 섞어 범벅을 만들어 식힌 뒤 누룩가루 한 되 반을 넣어 익히는 단양법(單釀法)을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백하주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재료의 분량과 제조방법이 간소화되고, 이양법에서 단양법으로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