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화회 ()

불교
의례·행사
매년 11월 16일에서 정월 15일까지 당나라 적산의 신라 법화원(法花院)에서 『법화경』을 강의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강경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매년 11월 16일에서 정월 15일까지 당나라 적산의 신라 법화원(法花院)에서 『법화경』을 강의한 종교의례. 불교의식 · 강경의식.
내용

일본 승려 원인(圓仁)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장보고(張保皐)가 세운 법화원에서는 겨울에 『법화경』을 강하고 여름에는 『금광명경』을 강하였다.

이 법화회는 매년 11월 16일에 시작하여 다음해 정월 15일까지를 그 기한으로 삼았는데, 승려와 신도가 모두 참가할 수 있었다. 839년(문성왕 1)에 열렸던 법화회 때에는 성림(聖琳)이 경을 강의하는 법주(法住)가 되었고 돈증(頓證)과 상적(常寂) 두 사람이 논의(論議)가 되었다.

남녀의 도속(道俗)이 모두 한 곳에 모여서 낮에는 강의를 들었고 저녁에는 예참(禮懺)을 행한 뒤 『법화경』을 읽었다. 이 법화회는 비록 당나라에서 행한 것이었으나 모두 신라의 풍속에 의거하였다. 다만 황혼과 인시(寅時)의 예참만은 당나라의 풍속을 따랐으며, 그 밖에는 모두가 신라의 풍습대로 행하였을 뿐만 아니라 말도 신라의 언어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법화회를 마치는 마지막 날에는 결원(結願)을 한 뒤에 법회 참석자 모두에게 보살계(菩薩戒)를 주었으며, 점심공양이 끝난 뒤에 모두 헤어져서 돌아갔다고 한다. 현재 일본에서 신라의 법화회와 유사하게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동대사(東大寺)법화회, 흥복사(興福寺)법화회, 광륭사(廣隆寺)법화회가 있다.

의의와 평가

이 법화회는 매우 폭이 넓은 대중교화의 대법회 성격을 띠었던 것으로, 신라시대의 불교의식의 일면을 살필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