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동농서(海東農書)』의 ‘그ᄂᆡ[稻箸]’는 이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지역에 따라 ‘훌치개’ (경기도 반월)·‘손그네’·‘베훌깨’(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손홀깨’(충청북도 제천시 봉양읍)·‘홀깨’(경상남도 창녕)·‘가락홀태’(전라남도)로 부르며, ‘훌태’·‘훌추이’, ‘벼치기’, ‘홀태’라고 하는 곳도 있다.
두 개의 가는 나무가지나 수숫대 또는 댓가지의 끝을 동여매어 집게 비슷하게 만든다. 벼이삭을 양틈에 끼고 오므린 다음 훑어내면 알갱이가 떨어지는 것이다. 부젓가락처럼 길고 둥근 쇠끝에 자루를 박아 쓰기도 한다.
근래에는 풋바심이나 볍씨를 받을 때에 많이 썼으며 한 사람이 하루 닷 말내지 열 말을 훑는다. 이와 비슷한 것에 ‘짚채’가 있다. 이것은 물푸레나무나 싸리나무로 회초리처럼 만들며 주로 평안도에서 썼다.
짚채를 한 손에 쥐고 볏짚을 쳐서 알갱이를 떤다. 개상질을 아무리 잘 해도 곡식을 완전히 털어내기는 어려우므로 덜 털어진 것을 따로 모아두었다가 벼훑이나 짚채로 떨어내며 이를 ‘짚 앗는다’ 또는 ‘벼 앗는다’고 한다.
짚채질을 수확량에 대한 기대보다 알갱이를 그대로 둔채 이엉을 엮어 지붕을 덮으면 쥐가 올라가 지붕을 들쑤셔 놓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