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초기부터 말기에 이르기까지 이름이 나 있던 술로, 『규곤시의방(閨壼是議方)』·『요록(要錄)』·『산림경제』·『임원경제지』·『시의전서(是議全書)』·『양주방』 등에 기록되어 있다.
만드는 법은 『규곤시의방』에서는 멥쌀 두말닷 되를 깨끗이 씻어 가루내어 더운 물 서 말로 죽을 쑤어 식힌 다음 누룩가루 넉 되, 밀가루 두 되를 섞어 넣는다. 4, 5일 지나면 멥쌀 서말닷 되를 물에 하룻밤 재웠다가 찌고, 물 서 말에 풀어 식으면 누룩가루 두 되를 밑술에 섞어 넣어두었다가 7일 만에 마신다고 하였다.
『산림경제』에는 멥쌀 한 말을 씻어 가루내어 끓는 물 두 말로 죽을 쑤어 식힌 뒤 참누룩 한 되를 섞어 술밑을 만든다. 7일 후 멥쌀 두 말을 푹 쪄서 끓는 물 두 말과 고루 섞어 식힌 다음, 참누룩 2홉을 섞어 술밑에 넣어 익힌다고 하였다.
『증보산림경제』에는 찹쌀·멥쌀·밀가루로 술밑을 만든다 하였고, 『요록』에서는 멥쌀·찹쌀을 각 한말닷 되를 섞어, 봄·가을은 5일 만에, 겨울은 7일 만에 쌀 여덟 말을 씻어 가루내어 끓는 물 열 말과 섞어 죽을 만들고 식힌 후 누룩 한 말을 섞어 술밑에다 섞는다.
3일이 지난 후 멥쌀 너 말을 가루내어 끓는 물 여섯 말에 섞어 죽을 쑤어 식힌 다음, 앞의 술과 섞어두었다가 14일이 지난 후에 마신다고 한다. 이와 같이 만드는 법이 여러 가지이며, 멥쌀과 찹쌀을 같이 쓰는 것도 있고, 3차 담금을 하는 것도 있다. 평안도의 명주로 전해지던 양주방 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