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우조타령 ()

목차
국악
작품
관악합주곡.
이칭
이칭
금전악(金殿樂)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관악합주곡.
내용

일명 ‘금전악(金殿樂)’이라고도 한다. 「영산회상(靈山會相)」의 여덟째 곡인 계면조(界面調)의 타령을 평조(平調)의 하나인 우조(羽調)로 변조하여 만든 별개의 대칭되는 타령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인 듯하다. 삼현육각(三絃六角)의 악기편성으로 연주하는 행악(行樂)에 속한다.

보통 취타(吹打)에서 시작하여 「길군악」·「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의 순으로 연주된다. 장단은 타령장단을 사용하고, 전 4장 36장단으로 되어 있어 「영산회상」의 타령보다 4장단이 많다.

상행시와 하행시의 음계가 서로 달라, 상행시는 황종(黃鐘)·태주(太簇)·중려(仲呂)·임종(林鐘)·무역(無射)이 되나, 하행시는 무역 대신 남려(南呂)를 사용한다. 시작음 임종은 바로 앞의 곡인 「길타령」의 종지음 중려를 장2도 상행시켜 변조한 음이고, 제2장 13째 장단부터 계면조로 변한다.

3장에서 다시 우조로 돌아오나 이후 4장 끝까지는 「영산회상」의 타령 선율과 대부분 비슷한 선율형을 가지고 있는 매우 특이한 곡이다. 그리고 연주시 피리는 한 구멍씩 치켜 올려 잡고, 원음보다 한 음 아래음을 연주하는 특이한 연주법을 보여준다.

흥청거리면서도 시원한 느낌을 주는 곡이다. 『삼죽금보(三竹琴譜)』와『서금보(西琴譜)』에 각각 거문고보와 양금보(洋琴譜)로 장별 구분 없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삼죽금보(三竹琴譜)』
『서금보(西琴譜)』
『국악총론』(장사훈, 정음사, 1979)
『국악논고』(장사훈, 서울대학교출판부, 196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