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민편 ()

목차
관련 정보
보민편
보민편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왕에게 국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내용을 엮은 역사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왕에게 국가 운영의 기본 원칙을 제시한내용을 엮은 역사서.
내용

1책. 필사본. 정확한 편찬 시기와 지은이는 나타나 있지 않으나, 서인(西人) 계열의 인사가 숙종에게 진언한 내용이라고 짐작된다. 책머리에 간단히 보민 논의의 의의와 이 책의 논리 구성을 설명하였다.

본문의 내용은 “국가의 근본은 보민에 있는데 보민의 근본은 득인(得人)에 있고 득인의 근본은 수덕(修德)에 있다.” 하여 군덕(君德)·인재(人才)·보민의 세 부분이 중심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은 여러 개의 작은 조목으로 분류되어 있다. 그 뒤에 「명대의(明大義)」·「설국치(雪國耻)」를 실었다.

전체적으로, 임금의 학문으로부터 기강(紀綱)·언로(言路)·붕당(朋黨)·인재양성·수령선택·과거·근무기한·문벌·부세(賦稅)·학교·풍속·노비·양병(養兵)에 이르기까지 국가 운영 전반에 대한 32개의 작은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보민 부분은 「후기생(厚其生)」·「정기속(正其俗)」·「비기환(備其患)」의 중간 항목을 세우고 그 각각에 대해 4, 5개의 조목을 붙였다. 부모나 자식이 없는 과부의 수절을 반대하고, 공사천(公私賤)의 세습 제도를 폐지하고 그 중 재주 있는 자에게는 과거 응시까지 허락하자는 것 등 당시로서는 진보적이라 할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이이(李珥)의 경세론(經世論)을 많이 거론하고 있다. 「명대의」·「설국치」에서는 당시의 국가적 과제로 인식되고 있던 명나라에 대한 의리 고수와 청나라에 대한 복수를 논하면서 보민의 뜻을 마무리지었다.

말미에 실려 있는 「보민도(保民圖)」에서는 위의 각 항목과 그 상호 관계를 알아보기 쉽게 하나의 그림으로 제시하였다. 여기서 저자는 군덕·인재·보민 그리고 명대의·설국치의 내용을 잇는 고리로 성(誠)을 내세웠다.

지금까지 연구된 조선 후기 실학자들과의 경세관과는 여러 면에서 구별되는 사상적 흐름을 엿볼 수 있는 문헌이라고 생각된다. 규장각도서에 있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