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본단 ()

목차
대종교
유적
태백산(太白山, 현재 백두산)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천의식 관련 제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태백산(太白山, 현재 백두산)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발해의 제천의식 관련 제단.
내용

제사지내는 대상은 민족의 시조신(始祖神)인 단군 한배검으로, 제천의식을 행함으로써 겨레의 근본이 되는 조상신의 은덕에 보답한다고 하여 ‘보본(報本)’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전하는 바에 따르면, 이 제단에 있는 석함(石函) 속에 대종교의 경전인 《삼일신고 三一神誥》가 1,000여 년 동안 비장되어왔다고 한다.

원래 《삼일신고》는 한배검이 홍익인간의 큰 뜻으로 팽우(彭虞)에게 명하여 그 가르침을 받게 하고, 고시(高矢)는 동해안에서 청석(靑石)을 캐어 와, 신지(神誌)가 그 돌에 새겨 만든 것이 고문석본(古文石本)이다.

그 뒤에 부여의 왕수긍(王受兢)이 은문(殷文)으로 단목(檀木)에 새겨 읽게 하였는데, 그것이 은문단본(殷文檀本)이다. 그러나 이들 두 가지 고본은 그 뒤 병화로 소실되었다 한다.

발해의 문왕이 태조의 찬문(贊文), 왕제(王弟)인 대야발(大野勃)의 서문, 현신(賢臣) 극재사(克再思)의 독법(讀法), 임아상(任雅相)의 해석 등을 한데 엮은 다음, 자신이 지은 《봉장기 奉藏記》를 덧붙였다. 이것이 어찬진본(御贊珍本)으로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문왕은 이전의 석 단이본(石檀二本)이 후세에 전해지지 않음을 안타깝게 여겨 739년인 대흥(大興) 3년에 어찬진본을 보본단 석실에 보관하였다고 한다. 그러다가 한배검의 묵시(默示)를 받아 신사(神師), 백봉(白峯)이 찾아내었고, 1905년에 이르러 이를 대종교 초대 교주 나철(羅喆)에게 전함으로써 《천부경 天符經》과 함께 대종교의 주요 경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대종교중광육십년사』(대종교종경종사편수위원회, 대종교총본사, 1971)
『역해종경사부합편전』(대종교총본사, 198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